주택과 상가 시장에서 젊은 세입자의 비중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명 중 1명은 2030세대인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직방이 법원 등기정보광장을 통해 전국 확정일자가 부여된 임차인을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올해 1~4월 기준 30대가 28.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50세 이상이 26.8%, 30세 미만이 25.2%, 40대가 19.8%로 각각 나타났다.

2014년과 비교해 30세 미만인 10대와 20대의 비중은 8.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세 미만의 전국 임차인 비중은 2014년과 2015년 16.4%를 기록한 이후 오름세를 지속하며 2019년 22.5%로 처음 20%대를 넘었다. 이어 지난해 23.0%, 올해 25.2%로 꾸준히 상승중에 있다.

이런 경향은 수도권과 지방에서 모두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 30세 미만의 임차인 비중은 2014년 13.3%에서 올해 22.2%로 늘었다. 지방에서는 같은기간 22.1%에서 31.2%로 증가했다.

직방 측은 "소득이 다른 연령층보다 적은 30세 미만이 임차인 시장으로 유입되는 속도가 빠르다"며 "이들 계층에 대한 법률적 보호 장치가 더 세밀하게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상현기자 ishsy@dt.co.kr

전국 임차인 연령별 비중. <직방 제공>
전국 임차인 연령별 비중. <직방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상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