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태티스타 OTT 시장 보고서
“구독형 서비스 빠르게 성장”

스마트폰 온라인동영상서비스(PG)/제공=연합뉴스
스마트폰 온라인동영상서비스(PG)/제공=연합뉴스


올해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 규모가 코로나19 사태 속에 넷플릭스 등 구독형 서비스의 빠른 성장에 힘입어 3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5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가 최근 펴낸 OTT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국내 온라인 동영상 시장 규모는 29억5770만 달러(3조3000억원) 규모로 추산됐다.

이는 지난해 25억6520만 달러(2조8671억원)보다 15%가량 성장한 것이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소비가 급증하면서 국내 온라인 동영상 시장은 애초 예상을 뛰어넘는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607억3400만달러·67조8702억원), 중국(431억7900만달러·48조2525억원), 일본(88억900만달러·9조8440억원), 독일(50억4100만달러·5조6333억원), 인도(38억2520만달러·4조2746억원) 시장이 국내보다 컸다.

국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종류별로는 유튜브처럼 무료지만 광고를 봐야 하는 AVOD의 시장 규모가 2억340만달러(2조2350억원)으로 전체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넷플릭스 등 구독형 서비스를 일컫는 SVOD는 6억3550만 달러(7089억원), 편당 결제하는 TVOD는 2억7480만 달러(370억원) 등이었다.

성장률 면에서는 SVOD의 시장 규모가 지난해(6065억원)보다 17% 증가하며 AVOD를 앞질렀다. 2017년 기준으로 2025년까지 국내 SVOD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15.7%로, AVOD(13.5%)보다 빠른 성장이 예측됐다.

실제로 대표적인 구독형 서비스 넷플릭스의 지난해 국내 스트리밍 수익(구독료)은 3988억원으로, 2019년(1756억원)보다 두 배 넘게 늘었다.

올해 기준 사용자 수도 현재는 AVOD가 2510만명으로 가장 많지만, 향후 성장률은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856만명의 SVOD는 앞으로 연 4.8%씩 사용자를 늘려가며 보폭이 더욱 클 것으로 전망됐다.김수현기자 ksh@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