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야권 주장…“이제 TBS에 대한 혈세 지원, 멈춰도 좋을 것”
방송인 김어준.<연합뉴스>
방송인 김어준.<연합뉴스>
범야권이 최근 '고액 출연료' 논란에 휩싸였던 방송인 김어준의 연봉이 "70억의 10%가 안되는 수준"이라는 취지의 주장을 했다. 야권의 주장이 맞다면, 이는 TBS 대표 연봉의 5배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19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대출 국민의힘 의원실이 전날 TBS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이강택 TBS 대표이사의 2021년 기준 연봉은 1억 3500만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국민의힘은 김어준의 출연료가 회당 200만원 상당으로, 5년 간 약 23억원의 출연료를 받았다는 취지의 주장을 한 바 있다. 허은아 의원은 "김어준의 출연료가 알려진 대로 회당 200만원이라면, 월 4000만원, 연봉 4억8000만원"이라고 했다.

이같은 국민의힘의 주장에 대해 TBS는 '개인정보'라며 정확한 출연료를 밝히지 않았다.

다만 TBS 측은 팩트체크 형식의 공식입장문을 통해 "'김어준의 뉴스공장'은 연간 70억원에 가까운 수익을 내고 있다"며 "진행자 김어준의 출연료는 뉴스공장이 벌어들이는 총 수익 10%에도 미치지 못 하는 규모"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인 액수를 밝히진 않았지만, 김어준의 출연료가 6~7억원 상당에 달한다는 추정이 가능한 대목이다.

이를 토대로 야권에서는 "김어준의 연간 출연료가 대표이사 연봉(1억 3500만원)의 5배 수준"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김어준의 출연료가 총 수익의 10%'라는 보도자료가 논란이 되자 TBS가 뒤늦게 '뉴스공장 제작비가 총 수익의 10%'라고 내용을 수정했다"며 "처음 주장대로라면 김씨 출연료가 대표 연봉보다도 몇 배나 높은 걸 인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배준영 국민의힘 대변인은 구두논평을 통해 "서울시가 TBS 전체 예산의 73%를 지급하고, 나머지 상당 부분도 정부 광고에 충당된다"며 "그런데 TBS와 김어준은 '뉴스공장'이 많은 수익을 내 서울시민 세금과 별 상관없단 취지로 반박하는데, 그럼 서울시는 이제 TBS에 대한 혈세 지원을 멈춰도 좋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서울시 산하 교통방송본부로 출발한 TBS는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재임 때인 지난해 2월 별도 재단인 '서울시 미디어재단 TBS'로 독립했다. 그러나 TBS는 수입의 70% 이상을 서울시 출연금에 의지해 운영하고 있다.

권준영기자 kjykjy@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권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