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 '2050 탄소중립에 대한 대응실태와 과제' 설문조사 결과. <대한상의 제공>
대한상공회의소 '2050 탄소중립에 대한 대응실태와 과제' 설문조사 결과. <대한상의 제공>
[디지털타임스 박정일 기자] 국내 기업 가운데 절반은 '2050 탄소중립'을 "어렵지만 가야 할 길"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 기업들은 탄소 규제를 경쟁력 저하는 물론 업종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우려하는 가운데, 수소 등 신에너지를 활용한 생산기술 개발과 탄소 감축 투자에 대한 지원을 가장 원하고 있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 참여 중인 684개 기업(403개 기업 응답)을 대상으로 '2050 탄소중립에 대한 대응실태와 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57.3%가 2050 탄소중립을 '어렵지만 가야할 길'로 평가했다고 밝혔다. '현실적으로 탄소중립이 어렵다'는 기업은 42.7%였다.

'탄소중립'은 기후변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온실가스 순배출(배출량-흡수량)을 '0'으로 하겠다는 목표다. 유럽연합(EU)·일본이 2050년, 중국은 2060년까지 탄소중립 실현을 선언했고, 미국 역시 바이든 정부가 출범하면서 탄소중립을 공언한 상태다. 한국은 지난해 10월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한 바 있다.

응답 기업 가운데 59.3%는 탄소중립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쟁력 약화 위기'라고 답했고, 14.9%의 기업은 '업종 존속 위기'라고 답했다. '경쟁력 강화 기회'로 보는 기업은 25.8%에 그쳤다.

대한상의 측은 "탄소중립이 피할 수 없는 길이지만 당장은 기회보다 위기 요인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응답 기업의 64.8%는 탄소중립 정책에 '대응 중'(31.0%), 또는 '대응계획 중'(33.8%)이라고 답했다. 35.2%는 '대응하지 못한다'고 했다.

탄소중립 대응에 나선 기업은 그 이유로 '현재의 규제'(39.0%) 또는 '규제강화 대비'(21.7%)를 많이 꼽았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천'(16.9%), '경쟁력 강화'(12.5%), '공급망 등의 요구'(5.2%), '기후위기 대응 동참'(2.9%) 등 적극적인 이유로 대응한다는 기업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대응 내용으로는 '사업장내 온실가스 감축투자'(75.5%)가 대부분이었고, 'RE100 등 이니셔티브(기업들이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약속하는 캠페인) 참여'(9.3%), '외부감축사업 추진'(7.6), '탈탄소 기술개발 참여'(7.2%) 등이 뒤를 이었다. 아직 대응하지 못하는 기업은 '비용 부담'(41.7%), '감축방법 부재'(31.3%), '우선순위에서 밀림'(22.2%) 등을 이유를 들었다.한 제조업체 관계자는 "발전·수송 부문과 달리 산업 부문은 아직 탈탄소 혁신기술이 개발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탄소제로가 최종목표이지만 현재는 점차 강화되는 온실가스 규제에 대응하는 수준"이라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기업들은 탄소중립을 위해 필요로 하는 것으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생산기술'(24.8%)을 가장 많이 꼽았다. '공정가스 대체·감축 기술'(22.5%), '에너지효율 향상 기술'(22.2%), '자원순환 기술'(17.5%),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기술'(13.0%) 등이 뒤를 이었다.

탄소중립을 위해 시급한 정책과제로는 '감축투자 지원'(36.7%)과 '탈탄소 혁신기술 개발'(31.0%)을 요청한 기업이 많았다. 이어 '재생·수소에너지 공급인프라 구축'(15.1%), '법제도 합리화'(11.2%), '협력 네트워크 구축'(5.0%)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한편 EU와 미국에서 도입을 추진 중인 탄소국경세가 시행된다면 73.7%의 기업은 경쟁력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탄소국경세는 온실가스 배출규제가 느슨한 국가에서 생산한 상품을 규제가 강한 국가로 수출할 때 탄소비용만큼 세금을 부과하는 제도다.

김녹영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센터장은 "탄소중립을 현실화할 수 있는 길은 신재생에너지의 안정적 공급과 탈탄소 혁신기술에 있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R&D 지원과 함께 산업계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정일기자 comja77@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정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