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능 프로그램과 비대면 스포츠로 각광 영향
낚시채비, 낚시릴 등의 순으로 출원 많아
낚시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여가 활동으로 인기를 모으면서 낚시용품 관련 특허출원이 활발하다.
12일 특허청에 따르면 2011∼2017년 낚시용품 관련 특허출원은 300여 건 미만에 머물렀지만, 2018년 303건, 2019년 332건, 2020년 382건으로 매년 꾸준한 증가세를 기록했다.
특히 2017년 낚시 예능 프로그램 인기를 시작으로 지난해 코로나19로 비대면 활동이 늘면서 낚시용품 관련 특허출원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출원 기술로는 낚시채비가 1235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낚시릴(531건), 부속장비(462건), 받침도구(410건), 낚싯대(227건), 게임 완구(85건) 등의 순이었다.
이 가운데 낚시추와 연결구에 대한 특허출원은 2018년에 비해 지난해 각각 157.1%, 116.7% 증가했는데, 이는 최근 낚시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친환경 소재, 걸림·엉킴 방지, 위치 추적 기술 등을 접목한 특허출원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반면 낚시찌 관련 특허출원은 2018년 대비 지난해 46.0% 감소했다. 한 자리에 오래 머물러 고기를 낚는 찌낚시 대신 활동성이 많은 루어 낚시가 인기를 얻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자동 챔질·흔들기, 원격제어, 스마트폰과 연동돼 입질을 감지하는 낚시장치 등 자동·지능형 낚시용품도 102건 출원돼 빠르고 간편하게 낚시를 즐기고자 하는 수요를 반영했다.
국내 개인 출원이 전체 출원의 67.8%를 차지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윤아 특허청 식품생물자원심사과 심사관은 "낚시용품 관련 지식재산의 기술이전이나 사업화 확대를 통해 국내 낚시용품 산업의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낚시용품 기술분야별 국내 특허출원 현황>
낚시채비, 낚시릴 등의 순으로 출원 많아
낚시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여가 활동으로 인기를 모으면서 낚시용품 관련 특허출원이 활발하다.
12일 특허청에 따르면 2011∼2017년 낚시용품 관련 특허출원은 300여 건 미만에 머물렀지만, 2018년 303건, 2019년 332건, 2020년 382건으로 매년 꾸준한 증가세를 기록했다.
특히 2017년 낚시 예능 프로그램 인기를 시작으로 지난해 코로나19로 비대면 활동이 늘면서 낚시용품 관련 특허출원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출원 기술로는 낚시채비가 1235건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낚시릴(531건), 부속장비(462건), 받침도구(410건), 낚싯대(227건), 게임 완구(85건) 등의 순이었다.
이 가운데 낚시추와 연결구에 대한 특허출원은 2018년에 비해 지난해 각각 157.1%, 116.7% 증가했는데, 이는 최근 낚시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친환경 소재, 걸림·엉킴 방지, 위치 추적 기술 등을 접목한 특허출원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반면 낚시찌 관련 특허출원은 2018년 대비 지난해 46.0% 감소했다. 한 자리에 오래 머물러 고기를 낚는 찌낚시 대신 활동성이 많은 루어 낚시가 인기를 얻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자동 챔질·흔들기, 원격제어, 스마트폰과 연동돼 입질을 감지하는 낚시장치 등 자동·지능형 낚시용품도 102건 출원돼 빠르고 간편하게 낚시를 즐기고자 하는 수요를 반영했다.
국내 개인 출원이 전체 출원의 67.8%를 차지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윤아 특허청 식품생물자원심사과 심사관은 "낚시용품 관련 지식재산의 기술이전이나 사업화 확대를 통해 국내 낚시용품 산업의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