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인 반도체 품귀 사태로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비상사태에 돌입한 가운데 미국 백악관이 반도체, 자동차 업체들과 만나 사태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주요 반도체, 자동차, 테크기업들이 다수 초청된 가운데 한국에선 삼성전자가 회의에 참석한다.

1일(현지시간) 블름버그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국가안보 및 경제 보좌관들은 오는 12일 반도체, 자동차 업계 관계자들과 만나 반도체 칩 부족에 따른 영향, 해결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는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이 삼성전자, 제너럴 모터스, 글로벌파운드리 등과 같은 반도체, 자동차, 테크기업 등과 만나게 된다. 백악관은 의회 및 동맹국들과도 이 문제를 협의 중이다.

최근 전 세계를 강타한 반도체 칩 대란 사태는 자동차 업체들이 수요 예측에 실패하면서 촉발됐다. 완성차 업체들이 코로나19로 생산·재고를 크게 줄인 사이 반도체 회사들이 노트북을 비롯한 가전제품 수요 대응에 집중하면서 불균형이 생긴 것이다.

대규모 장치 산업인 반도체의 특성상 수요에 맞춰 공급량이 빠르게 늘릴 수 없어 주요 자동차 업체들은 비상경영에 돌입한 상태다.

반도체 칩 공급 지연에 따라 북미 지역에 공장을 둔 자동차 업체들도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 현재 세계 반도체 칩 공급 물량 대부분을 삼성과 대만 TSMC 두 업체가 담당하고 있다.

바이든 정부는 공급 부족에 따른 타격을 완화하기 위해 자국 내 생산을 늘리는 데 대한 인센티브 검토, 공급망 취약점 개선 등 여러 대책을 모색 중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인텔은 지난 23일 애리조나주에 신규 반도체 공장 2곳을 설립하는 데 200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 미국 내 반도체 생산 능력을 대폭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김광태기자 ktkim@dt.co.kr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AP=연합뉴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AP=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김광태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