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박상길 기자] 행정수도이자 행복도시인 세종시에서 공무원들의 땅 투기 의혹이 줄줄이 굴비처럼 엮여나오고 있다. 전 행복청장, 공무원, 시 의회 의원 등 공직자들이 곳곳에서 투기에 나선 정황이 포착되면서 LH에 버금가는 의혹의 중심으로 부상했다. 이 때문에 세종도 대대적인 조사와 수사로 투기 발본색원의 시범케이스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8일 정부에 따르면 세종시 건설 책임자인 전 행복중심복합도시건설청 청장이었던 A씨는 재임 당시인 2017년 4월 세종시 눌왕리에 아내 명의로 토지 2필지(2455㎡)를 매입했고 같은 해 11월에는 연서면 봉암리의 토지와 구조물 622㎡를 사들였다. 이들 토지 인근의 와촌·부동리 일대는 이듬해인 2018년 8월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A씨가 추가로 사들인 봉암리 토지는 스마트국가산업단지 진입로 옆 도로변으로 현재 시가는 매입가의 2배 이상으로 알려졌다.

세종시의 일가족 공무원 3명도 일반인 4명과 함께 스마트국가산업단지 투기 의혹으로 경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 연서면 와촌리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인근에 야산을 보유하던 시의원 B씨는 산단 결정 과정에서 직위를 이용해 보유한 야산 인근의 부지가 산단으로 지정되도록 역할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연서면 와촌·부동리 일원 270만㎡는 2018년 8월 국가산단 후보지가 됐으며 내년부터 보상에 들어간다. 2027년까지 1조5000억원을 들여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모빌리티, 바이오 헬스케어 선도기업을 유치할 계획이다.

이는 빙산의 일각일 수 있다. 다른 전·현직 공직자들이나 가족, 친인척도 여기에 투자했을 개연성이 높다. 이곳뿐 아니라 세종시 주변 임야나 농지 전역에서 땅 투기가 횡행했다는 의혹이 잇따르고 있다. 정의당 세종시당은 세종시청 공무원 B씨가 대규모 도시공원 조성 정보를 이용해 4000만원어치 땅을 매입한 의혹이 있다며 수사 의뢰했다. 이 땅은 현재 4억∼5억여원대로 치솟은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세종시에도 정부합동조사단을 보내 달라는 청원이 올라왔다. 투기 의혹 폭로에 놀란 세종시가 스마트국가산업단지 일원에 대한 공직자 투기행위에 대해 자체 조사한다고 밝혔지만, 셀프조사인 데다 대상 지역도 한정돼 투기 의혹자를 걸러내는 데 큰 성과를 내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세종시 투기 비리가 정치권의 책임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치권에서 잊을만하면 터지는 천도론이 불난 곳에 기름 끼얹는 식으로 투기의 기폭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세종시는 작년 정치권에서 국회 이전 논의가 진행되면서 집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공시가격도 많이 뛰었다.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통계 자료에 따르면 세종시 아파트값은 작년 한 해 동안 44.93% 올랐다. 세종시의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 평균 상승률은 70.68%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세종시 연서면 스마트산업단지 예정지 일원에 내걸린 공무원 부동산 투기 행위 제보 현수막. 시는 지난 12일 산단 지역 내 공무원 부동산 투기 특별조사와 관련한 공익신고센터를 개설했다. <연합뉴스>
세종시 연서면 스마트산업단지 예정지 일원에 내걸린 공무원 부동산 투기 행위 제보 현수막. 시는 지난 12일 산단 지역 내 공무원 부동산 투기 특별조사와 관련한 공익신고센터를 개설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상길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