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연, 뇌파 이용해 사이버 멀미 정량적 측정 멀미 민감도 따른 개인 맞춤형 VR 제작에 활용
임현균 표준연 박사 연구팀이 '사이버 멀미 표준 영상'을 토대로 사용자의 뇌파 측정을 통해 사이버 멀미 민감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시연을 하고 있다. 표준연 제공
가상현실(VR) 관련 콘텐츠를 즐길 때 생기는 '사이버 멀미'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를 이용하면 개인별 사이버 멀미에 따른 맞춤형 VR 콘텐츠 제작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임현균 박사 연구팀이 VR을 체험하면서 생기는 '사이버 멀미'를 뇌파를 이용해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가상현실은 의료, 게임, 스포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면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고글형(HMD) 기기를 쓰면 몰입도가 높아지는 대신 사이버 멀미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사이버 멀미는 디지털 기기 화면의 빠른 움직임을 보면서 어지러움과 메스꺼움을 느끼는 증상이다. 고글형 기기를 착용하고 VR을 체험할 때 시선을 돌리는 속도와 화면에 나타나는 이미지 사이에 지연이 생겨 눈으로 보는 것과 뇌로 판단하는 것에 차이가 누적되면서 더 커진다.
그동안 사이버 멀미는 객관적·정량적 평가법이 없어 어지러움, 메스꺼움, 방향 상실, 발한, 토 나오는 정도, 현기증 등을 0점에서 3점으로 묻는 설문지 방식의 주관적 평가에 의존해 왔다.
연구팀은 '사이버 멀미 표준 영상'을 제작해 1주일 간격으로 21명의 피실험자에게 동일 자극을 주고 사이버 멀미 증상에 따른 뇌파 반응을 두 번에 걸쳐 관찰했다. 그 결과, 같은 사람의 전두부·중앙부 등 특정 영역에서 델타, 시타, 알파 주파수 범위가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이버 멀미가 심한 사람일수록 뇌파의 변화 범위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화면이 클수록 멀미가 심해지고, 머리에 HMD 등을 쓸 때 멀미가 가장 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가령, 회전속도가 1초당 60도 이상의 영상이 5초 이상 지속되고, 10회 이상 사용될 때를 멀미 등급 '상'으로 매겨 영화처럼 사이버 멀미 등급을 부여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임현균 표준연 박사는 "앞으로 사이버 멀미 등급을 부여해 개인 맞춤형 VR 콘텐츠 제작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뉴로사이언스 레터스(지난 2월)' 온라인판에 실렸다.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임헌균(앞줄) 표준연 박사 연구팀이 VR 콘텐츠를 즐길 때 생기는 뇌파를 이용해 사이버 멀미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표준연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