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 땅투기 의ㅣ혹과 관련한 정부 합동특별수사본부(특수본)의 수사 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17일 특수본에 따르면 이날 현재 특수본은 37건·198명을 내사·수사 중이다.
지난 12일 기준 16건·100여명에서 크게 늘어난 수치다.
현재 정식으로 수사 의뢰된 직원 수만 20명이다. 정부 합동조사단이 특수본에 수사를 의뢰한 LH 직원 20명은 1건으로 분류된다. 198명은 LH 직원과 시·도의원, 공무원, 공기업 직원, 민간인 등으로 다양하다고 특수본은 전했다.
특수본은 직원 전원에 대해 다시 가족과 지인들의 땅투기 여부도 곧 착수하게 된다. 현재 대략 전국적으로 10만 여명이 조사 대상으로 추산되고 있다. 하루 1명을 조사한다고 해도 10만일이 걸리는 일이다.
특수본은 모든 수사역량을 동원해 조사에 임한다는 각오다. 당장 특수본은 9일 LH 본사와 수도권 사업본부, 15일 시흥시의회·광명시청 등에서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자료 분석를 분석 중이다. LH 직원 등이 내부 개발정보를 이용해 투기했다는 증거를 찾기 위해 이들의 휴대전화와 PC 등을 분석 중이다.
조만간 추가적인 압수수색을 통한 자료 확보에 나설 예정이다. 현재 관련해 전국적이고 전방위적인 수사가 진행되는 사실이 공개된 이상 혐의자들의 증거 인멸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혐의 특정과 함께 신속한 압수수색으로 증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기기 포렌식 등 혐의 증거 확보를 위한 절차가 복잡하고 시간이 필요해 이번 LH발 공사 공무원 땅투기 의혹 사건 수사는 올 한해 내내 정국의 주요한 이슈가 될 수밖에 없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실제 기술상의 이유로 경기남부경찰청에서 분석하기 어려운 모바일 기기는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서 넘겨받아 포렌식을 하고 있다.
특수본 관계자는 "자료 분석을 마치는 대로 수사 대상자를 소환 조사할 방침"이라며 "길게는 며칠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가족 단위로 확대될 때 수사에 필요한 시간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특수본은 정치권에서 합의된 특검과는 별개로 지난 10일 출범 이래 지금까지 해오던 수사에 매진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지난 15일 운영을 시작한 경찰 신고센터는 16일까지 이틀간 182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특수본은 신고 내용을 검토해 필요한 경우 수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강민성기자 kms@dt.co.kr
ksw08@yna.co.kr
[https://youtu.be/9vR29MQe2OY]
특수본 '부동산투기 신고센터' 개설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16일 오후 서울 중구의 한 건물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부동산 투기와 관련한 제보를 받는 정부합동특별수사본부(특수본) 경찰 신고센터가 설치돼 있다. 2021.3.16 mon@yna.co.kr (끝)
광명시청 6급 공무원 부동산 투기의혹 관련 압수수색 (광명=연합뉴스) 최재구 기자 = 경기남부경찰청 부동산 투기사범 특별수사대 관계자들이 광명시 6급 공무원 B씨의 부동산 투기 의혹과 관련해 15일 광명시청을 압수수색하고 압수물을 옮기고 있다. 2021.3.15 jjaeck9@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