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권을 향한 후보들의 릴레이가 시작된 것이다. '4·7보궐선거'를 분수령으로 제 20대 대한민국 대통령을 향한 대장정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여론조사 기관인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8일 발표한 차기 대선후보 적합도 조사(TBS 의뢰·조사기간 5일·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결과, 윤 전 총장은 32.4%를 기록하며 1위로 올라섰다. 불과 한 달여 전인 지난 1월22일 실시한 KSOI의 여론조사에서 윤 전 총장의 지지율은 14.6%에 불과했다. 무려 17.8%포인트가 수직 상승한 것이다.
지난 조사에서 1위였던 이재명 경기지사는 24.1%로 0.7%포인트 올랐으나 2위로 내려앉았다. 이낙연 대표는 1.9%포인트 내린 14.9%로 3위였다. 이어 무소속인 홍준표 의원 7.6%, 정세균 국무총리 2.6%,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2.5% 순으로 집계됐다.
윤 전 총장의 이 같은 급부상은 역시 그의 '단호한 퇴임', 분명한 메시지 덕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더 이상 헌법질서가 농락당하는 것을 볼 수가 없었다", "헌법이 부여한 마지막 책무를 이행하려 한다. 총장 직을 내려놓는다."
영화 터미네이터의 "I will be back!"(돌아온다.)는 말 만큼이나 짧고 명료하다. 주적도 분명하고 목적하는 바 역시 단순하다. "국민만을 보겠다." 이제 총장직을 떠난 윤 전 총장은 화려하게 대권후보로 돌아온 것이다.
윤 전 총장에 대한 지지율을 세부적으로 보면 국민의힘 지지층과 문재인 대통령 국정수행 부정 평가층, 보수성향층, 50대와 60세 이상, 서울과 대전·세종·충청, 대구·경북, 가정주부층에서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윤 전 총장의 사퇴 발언에는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6.6%가 "공감한다"고 했다.
윤 전 총장의 대선후보로 귀환은 국민의힘에겐 분명 기회다.
그동안 여권에 넘어갔던 민심의 중심축이 윤 전 총장을 통해 거대한 이동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비상대책위원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윤 전 총장에 대해 "별의 순간을 잡은 것 같다"고 평한 것도 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물론 아직 많은 정치적 변수, 복잡한 대권타툼의 진영논리가 남아 있다. '선거는 생물'이라는 말은 괜히 있는 게 아니다.
김미경기자 the13ook@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