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백신 여권'과 관련해 다각적 측면을 검토해 신중하게 논의하겠다는 입장이다.
2일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백신 여권 도입과 관련된 부처 간 논의가 진행 중이냐는 질문에 "국내서도 방대본(중앙방역대책본부)·중수본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백신 접종이 먼저 이뤄진 해외 국가에서 백신 여권이 도입되고 증명서가 발급될 경우 국내 입국하는 해당 외국인들을 어떻게 격리할 것인지에 대한 부분과 격리 면제 여부 등 실무적인 검토가 상당 부분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백신 여권의 제도화 시기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백신접종을 하더라도 무증상 감염으로 이어질 가능성 등 (백신 효능 관련) 데이터가 불충분하다"며 "이런 부분은 해외도 마찬가지로, 전반적으로 실무적인 부분을 꼼꼼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 반장은 그러면서 "현재 유럽 등 외국에서도 이러한 논의가 진행되는 중이며, 국내서도 논의가 진행 중이어서 제도화 시기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백신 여권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형태의 접종 증명서다. 현재 이스라엘을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 이를 도입하는 것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김수연기자 newsnews@dt.co.kr
2일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백신 여권 도입과 관련된 부처 간 논의가 진행 중이냐는 질문에 "국내서도 방대본(중앙방역대책본부)·중수본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백신 접종이 먼저 이뤄진 해외 국가에서 백신 여권이 도입되고 증명서가 발급될 경우 국내 입국하는 해당 외국인들을 어떻게 격리할 것인지에 대한 부분과 격리 면제 여부 등 실무적인 검토가 상당 부분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백신 여권의 제도화 시기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백신접종을 하더라도 무증상 감염으로 이어질 가능성 등 (백신 효능 관련) 데이터가 불충분하다"며 "이런 부분은 해외도 마찬가지로, 전반적으로 실무적인 부분을 꼼꼼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 반장은 그러면서 "현재 유럽 등 외국에서도 이러한 논의가 진행되는 중이며, 국내서도 논의가 진행 중이어서 제도화 시기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백신 여권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형태의 접종 증명서다. 현재 이스라엘을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 이를 도입하는 것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김수연기자 newsnew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