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오전 광주 광산구보건소에서 방역 관계자가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을 검수하고 있다. 국내에서 위탁 생산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은 이날 광주에 3200명 접종분이 도착했다.  연합뉴스
25일 오전 광주 광산구보건소에서 방역 관계자가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을 검수하고 있다. 국내에서 위탁 생산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은 이날 광주에 3200명 접종분이 도착했다. 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1호 접종자'를 별도로 파악하지 않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은 25일 참고자료를 통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는 특정 한 명을 '1호 접종자'라고 의미를 부여하기보다 접종이 시작되는 첫 날에 의미를 두고 예방접종 시행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은 "내일(26일) 오전 9시 전국적으로 동시에 시작되는 요양병원, 요양시설 65세 미만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 분들이 모두 첫 번째 접종자가 된다"고 공지했다.

질병청은 백신 접종이 이뤄지는 첫날 현장 상황을 일부 공개하기로 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26일 오전 9시부터 서울 도봉구 보건소에서 요양시설 종사자 60명 정도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는다. 이 백신 1바이알(병)당 10회분이 들어있는 만큼 10명이 약 30분에 걸쳐 한 번에 접종을 받게 된다.

한편, 지난해 12월 8일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코로나19 백신을 맞은 주인공은 영국의 90대 할머니였다. 미국 첫 접종자는 이민자 출신의 흑인 여성 간호사였고, 이탈리아 로마에서는 코로나19 치료 의료진이 첫 대상자였다.

일본에서는 도쿄의료센터 원장이, 세르비아에서는 총리가 첫 접종자로 나섰다.

김광태기자 ktkim@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김광태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