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 1위 업종인 철강업계가 '2050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정부도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세제·금융 인센티브를 주는 등 탄소중립 구조로 전환하려는 기업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미국·유럽연합(EU) 등 주요 교역국이 앞다퉈 탄소국경세 도입을 추진 중인 상황에서 국가 기간산업의 에너지 전환을 통해 '환경 리스크'에 대비하겠다는 취지다.

2일 포스코와 현대제철·동국제강·케이지(KG)동부제철·세아제강·심팩 등 6개 철강기업은 그린철강위원회 출범식을 열고 '2050 탄소중립 선언'을 발표했다. 그린철강위원회는 철강업계의 탄소중립 논의를 위해 산업계와 학계, 정부 등이 꾸린 협의체로 한국철강협회 회장인 최정우 포스코 회장과 민동준 연세대학교 부총장이 공동위원장을 맡는다.

이들 철강기업은 단기적으로는 에너지 효율 개선과 저탄소 원료 대체, 철 스크랩 재활용 증대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수소를 이용한 제철기술 개발 등을 통해 탄소중립 제철소를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최 회장은 "탄소중립으로의 도전을 위기가 아닌 기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업계의 각오는 물론 정부의 전폭적인 협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철강업계 선언은 탄소배출량이 많은 업종에서 자발적으로 나온 것이라 주목된다. 2019년 기준 국내 철강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17억톤으로 국가 전체 배출량의 16.7%, 산업 부문의 30%를 차지한다. 같은 해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1위와 2위 기업 역시 철강사인 포스코와 현대제철이었다.

철강산업은 석탄을 주원료로 쓰는 공정 특성상 탄소배출량이 많을 수밖에 없고 대규모 선행투자를 중심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급격하게 배출을 줄일 수 없는 구조다. 하지만 미국에선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환경규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고, EU는 2023년을 목표로 탄소국경세 도입을 추진 중인 상황에서 탄소배출량을 줄이지 못하면 수출길이 막힐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적극 지원에 나선다. 자동차·석유화학 등 업종별·분야별 민관협의체를 구성하고, '2050 탄소중립 산업대전환 비전과 전략'을 연내 수립할 예정이다. 민간기업의 자발적 참여와 투자를 지원하기 위해 '탄소중립 산업구조로의 전환촉진법'도 제정한다. 이날 철강업계가 요청한 수소환원제철 등 혁신기술 개발 및 저탄소 설비 교체를 위한 재정 지원 등 인센티브 부문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은진기자 jineun@dt.co.kr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이 2일 오후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제1차 그린철강위원회에서 최정우 한국철강협회 회장과 함께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이 2일 오후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제1차 그린철강위원회에서 최정우 한국철강협회 회장과 함께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