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젤은 2일 중국에 수출하는 보툴리눔 톡신 제제 '레티보(중국 수출명)'가 지난해 12월 1차 선적에 이어 이날 2차분 선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앞서 휴젤은 지난해 10월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레티보의 판매 허가 승인을 받으며 국내 보툴리눔 톡신 기업으로서는 최초, 전 세계에서는 4번째로 중국 보툴리눔 톡신 시장에 진출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레티보는 중국 의료미용업계의 오스카상으로 불리는 '2020 라이징프로덕트(Rising Product)'로 선정됐다"면서 "중국 현지에서 레티보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짐에 따라 파트너사 사환제약의 추가 발주 시기도 예상보다 빨라졌다"고 말했다.
현재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보툴리눔 톡신 제제는 앨러간의 '보톡스'와 란저우 연구소의 'BTXA', 입센의 '디스포트' 총 3가지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보톡스는 제품력은 갖췄지만 고가의 제품으로, BTXA는 합리적인 금액이지만 제품력이 다소 아쉬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며 "입센 '디스포트'의 경우 허가 제품의 용량 차이가 있어, 휴젤의 시장 확대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휴젤은 보툴리눔 톡신 시술 및 관련 교육에 관심이 높은 중국 현지 보건의료전문가들의 수요에 맞춰, 중국 현지에 트레이닝 센터를 건립한다. 센터를 통해 현지 의료인에게 학술 교육 및 에스테틱 콘텐츠를 제공할 방침이다.김수연기자 newsnews@dt.co.kr
휴젤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 '레티보' 100유닛(Unit). 휴젤 제공
앞서 휴젤은 지난해 10월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레티보의 판매 허가 승인을 받으며 국내 보툴리눔 톡신 기업으로서는 최초, 전 세계에서는 4번째로 중국 보툴리눔 톡신 시장에 진출했다.
이 회사 관계자는 "레티보는 중국 의료미용업계의 오스카상으로 불리는 '2020 라이징프로덕트(Rising Product)'로 선정됐다"면서 "중국 현지에서 레티보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짐에 따라 파트너사 사환제약의 추가 발주 시기도 예상보다 빨라졌다"고 말했다.
현재 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보툴리눔 톡신 제제는 앨러간의 '보톡스'와 란저우 연구소의 'BTXA', 입센의 '디스포트' 총 3가지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보톡스는 제품력은 갖췄지만 고가의 제품으로, BTXA는 합리적인 금액이지만 제품력이 다소 아쉬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며 "입센 '디스포트'의 경우 허가 제품의 용량 차이가 있어, 휴젤의 시장 확대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휴젤은 보툴리눔 톡신 시술 및 관련 교육에 관심이 높은 중국 현지 보건의료전문가들의 수요에 맞춰, 중국 현지에 트레이닝 센터를 건립한다. 센터를 통해 현지 의료인에게 학술 교육 및 에스테틱 콘텐츠를 제공할 방침이다.김수연기자 newsnew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