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중앙은행(ECB)이 코로나19 여파가 계속되는 만큼 21일(현지 시각) 기준금리를 0%로 동결하기로 했다. 채권 매입 등 대규모 통화 재정정책도 유지하기로 했다.
ECB는 이날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0%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예금금리와 한계대출금리도 각각 -0.50%와 0.25%로 동결한다.
팬데믹긴급매입프로그램(PPP)의 채권매입 규모도 1조8500억유로(약 2472조원)로 순매입기간은 2022년 3월말까지다.
ECB는 지난해 12월 코로나19 대응채권 5000억유로(약 668조원) 더 사들였다. 매입기간도 9개월 연장했다. ECB는 자산매입프로그램(APP)도 월 200억 유로(약 27조원) 규모를 유지하기로 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이날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심화로 단기 경제전망에 하방위험이 제기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코로나19가 재차 급격히 확산하고 이에 따른 봉쇄조처 강화로 경제활동이 타격을 입고 있다"면서 "유로존 경제 성장 전망은 여전히 하방위험 쪽으로 기운 상태"라고 강조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이어 유로존 경제가 지난해 말 마이너스 성장을 했을 것으로 예상하면서 더블딥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유로존 지난해 4분기 경제 성장률은 이달 발표된다. ECB는 지난해 12월 수정경제전망에서 유로존 경제가 지난해 -7.3%의 역성장으로 내다봤다. 올해 3.9%, 2022년 4.2%, 2023년 2.1% 각각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수정경제전망이 "아직 전반적으로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추가 완화조처와 관련해서는 "채권매입은 코로나19 위기가 끝났다고 판단할 때까지 지속할 것"이라면서 "회원국에 유리한 대출조건을 보장하는 게 이 조처의 나침반이며, 언제든 지원을 확대할 준비가 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정기자 lmj0919@dt.co.kr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 로이터
ECB는 이날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0%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예금금리와 한계대출금리도 각각 -0.50%와 0.25%로 동결한다.
팬데믹긴급매입프로그램(PPP)의 채권매입 규모도 1조8500억유로(약 2472조원)로 순매입기간은 2022년 3월말까지다.
ECB는 지난해 12월 코로나19 대응채권 5000억유로(약 668조원) 더 사들였다. 매입기간도 9개월 연장했다. ECB는 자산매입프로그램(APP)도 월 200억 유로(약 27조원) 규모를 유지하기로 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이날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심화로 단기 경제전망에 하방위험이 제기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코로나19가 재차 급격히 확산하고 이에 따른 봉쇄조처 강화로 경제활동이 타격을 입고 있다"면서 "유로존 경제 성장 전망은 여전히 하방위험 쪽으로 기운 상태"라고 강조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이어 유로존 경제가 지난해 말 마이너스 성장을 했을 것으로 예상하면서 더블딥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유로존 지난해 4분기 경제 성장률은 이달 발표된다. ECB는 지난해 12월 수정경제전망에서 유로존 경제가 지난해 -7.3%의 역성장으로 내다봤다. 올해 3.9%, 2022년 4.2%, 2023년 2.1% 각각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수정경제전망이 "아직 전반적으로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추가 완화조처와 관련해서는 "채권매입은 코로나19 위기가 끝났다고 판단할 때까지 지속할 것"이라면서 "회원국에 유리한 대출조건을 보장하는 게 이 조처의 나침반이며, 언제든 지원을 확대할 준비가 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정기자 lmj0919@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