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코로나19 여파에도 국내 수출 회복을 이끌었던 반도체가 올해는 '슈퍼사이클'(초호황기)을 맞아 한국 수출 반등을 주도할 전망이다.

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반도체 연간 수출액은 992억달러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다.

이는 1267억달러의 수출 실적을 낸 2018년 다음으로 가장 높은 기록이다.

반도체 수출은 6개월 연속 '플러스'(+), 4개월 연속 두 자리수 증가율로 국내 총수출 성장기여도 1.0%포인트(p)를 달성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 경기침체가 이어졌지만, 비대면 경제 전환에 따른 서버·노트북 분야 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올해도 반도체 수출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산업부는 2021년 세계 반도체 시장이 전년 대비 약 8~10% 증가하는 가운데, 메모리반도체 시장은 약 13~20% 대폭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은 전년 대비 10.2% 증가한 1075억~1110억달러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별 다른 변수가 없다면 지난해 달성한 역대 2위 수출 실적 기록을 1년 만에 갱신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메모리반도체는 가격 상승이 예상되는 D램 중심으로 수출이 대폭 증가해 12.0% 증가한 703억~729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시스템반도체는 5G 통신칩, 이미지센서 등 수요 증가, 파운드리(위탁생산) 대형 고객사 확보로 7.0% 증가한 318억~330억달러로 전망됐다.

우리나라 총수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주력 품목인 반도체 부문이 큰 폭으로 성장하면서 올해 수출이 3년 만에 플러스로 전환할 가능성도 커졌다. 지난해 수출액은 전년 대비 5.4% 감소한 5128억5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올해도 반도체가 수출·투자 등 우리 경제의 활력 회복 및 수출 플러스 전환을 견인하고, 한국형 뉴딜의 성공적 추진과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를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라며 "올해도 메모리 '초격차' 유지, 시스템반도체 자생적 생태계 조성 등을 통해 종합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은진기자 jineun@dt.co.kr

연도별 반도체 수출 추이 및 2021년 전망.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연도별 반도체 수출 추이 및 2021년 전망. <자료:산업통상자원부>
SKT 연구원이 AI 반도체를 연구하고 있는 모습. <SK텔레콤 제공>
SKT 연구원이 AI 반도체를 연구하고 있는 모습. <SK텔레콤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