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장우진 기자] 글로벌 자동차업계가 코로나19 여파로 인수·합병(M&A)이 위축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미래차 기술 확보를 위한 M&A가 다시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돼 이에 대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4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글로벌 컨설팅업체 PwC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 발생 이후인 작년 상반기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M&A는 120억 달러(약 13조원) 규모로 전년 동기(270억 달러) 대비 56% 감소했다. 투자 건수 기준으로는 415건에서 350건으로 16% 줄었다.
연구원은 주요 기업이 유동성 악화 우려로 M&A에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그동안 주목받던 산업 영역의 성장 가능성이 낮아진 데 따른 투자 불확실성 확대 여파로 진단했다.
하지만 코로나 속에서도 연결성(Connectivity), 자율주행(Autonomous), 공유(Sharing), 전동화(Electrification) 등 미래차 트렌드로 꼽히는 'CASE' 기술 발전이 지속하고 있어 M&A는 다시 활성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최근 장기투자와 기술융합, 내재화를 염두에 둔 인수합병이 가시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자율주행과 차량공유 등에서 단기 수익을 기대한 기업들이 힘을 잃은 대신 재정·기술적으로 장기투자 여력을 가진 기업이 M&A를 시도하며 시장 재편을 주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원은 미국의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아마존이 자율주행차 스타트업인 죽스를 인수한 것이나 미국의 반도체 업체인 인텔이 이스라엘의 서비스형 모빌리티 스타트업 무빗을 인수한 것을 예로 들었다.
또 현대차가 미국의 로봇개발 전문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를 인수하기로 하는 등 기술간 융합에서 가능성을 엿보는 기업들이 이종 산업의 스타트업에 투자하거나 해당 기업을 인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기차 등의 분야에서는 핵심과 비핵심 사업을 선별해 M&A를 통해 장기 경쟁력에 필수적인 영역을 확보하고 관련 기술을 내재화하는 것도 특징이라고 전했다.
연구원은 이에 따라 자동차 M&A 활성화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정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국이 비교우위를 가진 정보기술(IT)·통신 우수기업과의 기술 융합을 위한 이종산업 M&A, 규모의 경제 확보를 위한 중소·중견 자동차 부품기업 간의 대형화 M&A, 기술력이 있으나 저평가된 해외 스타트업 등을 인수하는 글로벌 M&A 등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현주 연구원은 "컨설팅 제공 등 M&A를 고려 중인 기업을 적기에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나 인센티브와 조건부 감세 등 세제 혜택뿐만 아니라 M&A를 장려하는 문화 조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장우진기자 jwj17@dt.co.kr
작년말 현대자동차그룹이 지분 인수를 결정한 미국 로봇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로봇 개 '스팟'.<현대자동차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