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박상길 기자] 내년 서울 주택 평균 매매가격과 전셋값이 각각 1.5%, 3.6%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9일 주택산업연구원이 경제 변수와 수급지수를 고려한 내년 주택 가격 예측 결과에 따르면 매매가는 전국 1.5%, 수도권 1.4%, 서울 1.5% 상승할 것으로 분석됐다. 전셋값은 전국 3.1%, 수도권 3.3%, 서울 3.6%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주택산업연구원은 "누적된 공급부족에 대한 개선 가능성이 낮은 가운데 정부의 규제 강화 기조가 지속하는 상황에서 매매가와 전월세 가격은 상승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주택 사업자 입장에서는 가용택지 부족과 과도한 금융·분양가 규제로 주택사업 여건이 올해보다 더 악화할 것으로 보이지만, 입주자모집공고를 할 수 있는 사업장의 분양 시장은 호황을 이어갈 것이라고 분석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이 10년간 주택 가격 등락의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매매는 '수급 불균형', 전세는 '경제 성장률'이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
전국 주택 가격 영향 요인(상관계수)은 수급(-0.38), 경제성장률(0.28), 주택담보대출증가율(0.25), 금리변화(-0.13) 순이었다. 상관계수 마이너스(-)는 해당 영향 요인이 상승하면 가격이 하락하고 영향 요인이 하락하면 가격이 상승하는 역 상관관계를 의미한다.
서울의 경우 수급(-0.58), 경제성장률(0.28), 주담대증가율(0.13), 금리변화(-0.01) 순으로 수급 요인의 영향이 더 컸다. 또 전국 전셋값에 끼치는 영향 요인은 경제성장률(0.36), 금리변화(-0.33), 수급(-0.31), 주담대증가율(0.20) 순으로 상관계수가 높았다.
권영선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전세는 매매와 달리 금리 변화가 상대적으로 큰 영향 요인"이라며 "금리가 임대인의 기회비용과 전월세 전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임대 시장의 특성을 반영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취임한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은 설 명절 전 첫 대책으로 서울 도심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앞서 인사청문회와 기자간담회 등을 통해 "서울에 집을 더 지을 공간은 충분하다"며 역세권과 준공업지역, 빌라촌 등 저층 주거지의 고밀 개발 방안을 꺼낸 바 있다. 박상길기자 sweatsk@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