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입출금식예금·CMA로 이동
(자료=한국은행 제공)
(자료=한국은행 제공)


올해 들어 시중 유동성이 200조원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늘어난 유동성은 수시입출금식예금과 CMA 등으로 이동했다. 기업의 유동성 확보 노력으로 인해 기업의 유동성이 110조원 이상 늘어나기도 했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10월 광의 통화량(M2 평잔)은 3150조5034억원으로, 9월보다 34조7460억원(1.1%) 증가했다. 작년 10월보다는 9.7% 늘었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MMF(머니마켓펀드)·2년 미만 정기 예금·적금·수익증권·CD(양도성예금증서)·RP(환매조건부채권)·2년 미만 금융채·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10월 증가액은 올해 5월(+35.4조원)에 이어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6년 이후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이에 앞서 4월에는 34조원이 증가했다.

올해 1월 이후 M2 증가규모는 약 223조원에 이른다. 금융상품 별로 보면 M1에 포함되는 수시입출금식저축성예금이 약 107조원 늘어나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났다. M2에서는 2년 미만 정기예금이 약 19조원 감소한 데 비해 CMA와 만기 2년 미만 외화예수금, 발행어음 등은 약 23조원 증가했다. 코로나19가 본격화된 2월 이후 증가흐름을 보면 2년 미만 정기예금이 약 21조원 감소하고, CMA 등은 약 27조원 증가해 대기성 자금이 투자대기자금으로 흘러갔음을 알 수 있다.

M2를 주체별로 보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18.5조원), 기업(+10.7조원), 기타금융기관(+9.8조원), 기타 부문(+1.7조원) 모두 늘었다. M2 규모에서는 가계가 159.5조원으로 압도적으로 많지만, 올해 들어 증가규모를 보면 가계가 82.5조원, 기업 110조원, 기타 금융기관 37.5조원 등으로 기업의 유동성이 크게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김현동기자 citizenk@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