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연말까지 유엔(UN)에 제출할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과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안을 확정했다. 2050년까지 탄소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석탄발전소를 대폭 감축하고 신재생에너지를 크게 늘리는 방안이 담겼다.
환경부는 15일 국무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LEDS와 NDC 정부안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우리나라의 장기 비전과 국가 전략이 담긴 두 안건은 올 연말까지 영문번역을 거쳐 UN에 제출될 예정이다. 이는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지난 2015년 채택한 파리협정에 따른 것이다.
우선 석탄발전 중심의 현 전력공급 체계를 재생에너지와 그린수소 중심으로 전환한다. 다만 우리나라의 기후·지리적 여건상 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이 들쑥날쑥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기술 개발이 필수라는 사실을 덧붙였다. 석탄발전을 단기간에 퇴출할 수 없는 만큼 석탄·액화천연가스(LNG)발전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부 측은 "CCUS 기술발전이 충분히 성숙될 경우 석탄·LNG 발전에서 배출되는 탄소에 상당 부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기술발전에 따른 CCUS 비용 하락, 사회적 수용성 확보 등 충분한 시장 유인책 형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철강·석유화학 등 탄소 배출량이 많은 산업 분야에선 수소환원제철, 바이오플라스틱 등 신기술을 상용화해 배출량을 줄이는 안이 담겼다. 또 수송 분야에서 2030년 신차 판매량의 33% 가량을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차로 대중화한다는 계획이다. 디지털 기술과 연계한 지능형 교통시스템과 자율주행차 보급도 확대한다.
정부는 2015년에 세운 '2030년 배출전망치 대비 37% 감축' 목표에서 '2017년 대비 24.4% 감축'으로 목표를 변경했다.
정부는 내년 6월까지 구체적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수립, 내년 말까지 핵심 정책과제를 마련키로 했다. 은진기자 jineun@dt.co.kr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 실현 당정협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