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연, 궤적 분석결과 새벽 1시39분 고도 70㎞서 폭발 유성 잔해인 운석은 발견되지 않아…보름달보다 빛나 지난 9월 23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목격된 '화구(일반적인 별똥별보다 밝은 유성)'는 이날 새벽 1시39분 서쪽 하늘에서 날아와 충남 서천 상공 70㎞에서 두 차례 폭발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서천 화구로 추정되는 잔해(운석)은 발견되지 않았다.
15일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서천 화구는 9월 23일 새벽 1시39분 대기권에 진입한 후 낙하하는 동안 충남 서천 상공에서 두 번에 걸쳐 폭발하고 소멸했다.
화구는 평범한 유성(별똥별)보다 훨씬 밝은 유성으로, 금성의 겉보기 등급인 약 -4등급보다 밝다.
유성은 혜성, 소혜성의 부스러기 같은 유성체가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대기와 마찰로 불타는 현상으로, 별똥별이라고 한다.
이날 전국 각지에서 서천 화구가 목격됐으며, 일부 지역에선 폭발음도 들려 포털 실시간 검색어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유성 폭발은 유성체가 빠른 속도로 대기에 들어오는 경우 전방에 압력이 가해져 자주 관측된다. 하지만, 서천 화구는 드물게 보름달보다 밝게 빛났다고 천문연은 설명했다.
천문연 우주위험감시센터는 유성체 감시 네트워크를 시험 가동 중에 서천 화구를 포착했고, 감시카메라의 전천 영상을 통해 궤적을 분석했다. 그 결과, 서천 화구의 1차 폭발은 서천군 상공에서, 2차 폭발은 서천군과 익산시 경계 상공에서 각각 일어난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화구의 대기권 진입 속도는 초당 13㎞, 입사각은 40도로 계산됐다. 이를 토대로 서천 화구는 2차 폭발 지점을 지나 이동 방향으로 40㎞ 이내에 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까지 서천 화구로 추정되는 유성의 잔해인 운석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날 한국지질자원연구원도 동일 시간에 군산, 대전 등의 음파 관측소에서 서천 화구로 추정되는 음파를 확인했다.
천문연 관계자는 "앞으로 결합 지진파 분석을 통해 서천 화구의 폭발에너지와 유성체의 크기 추산 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천문연 대전 본원에 설치된 유성체 감시네트워크에 포착된 지난 9월 23일 서천 화구 영상으로, 새벽 1시39분경 서쪽 하늘에서 날아와 서해 상공 고도 70㎞에서 빛난 후, 대기 중에서 두 차례 폭발했다. 천문연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