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MP 서비스 포털' 오픈·시연 스마트공장 고도화 핵심 인프라 AI 분석도구·온라인 교육 서비스
인공지능 제조 플랫폼(KAMP) 개념도.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AI(인공지능), 데이터 중심의 제조 강국 발판이 될 민관 협력 플랫폼이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4일 대전 KAIST KI빌딩에서 '인공지능 제조 플랫폼(KAMP) 서비스 포털' 오픈식을 갖고, 시연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문을 연 인공지능 제조 플랫폼은 데이터와 AI를 중심으로 스마트공장을 고도화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다. 중소 제조기업이 갖추기 어려운 데이터 저장·분석 인프라, 인공지능 개발·활용 도구, 인공지능 데이터셋과 표준모델, 상품화된 인공지능 제조 서비스, 전문가 컨설팅, 교육 서비스 등을 한 곳에 모아 중소 제조업의 인공지능화를 종합 지원한다.
플랫폼 구축에는 NHN, KT, KAIST, 아이브랩, 티쓰리큐, 스코인포, 엠아이큐브솔루션 등 국내 클라우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전문기관이 참여했다. 지난달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축해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사업 참여 기업을 대상으로 GPU(그래픽처리장치) 등 고성능 컴퓨팅 자원과 데이터 저장공간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서비스 포털 오픈을 통해 기존 인프라 서비스 외에 인공지능 분석 도구, 데이터셋과 표준모델, 온라인 교육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행사에선 인공지능 제조 플랫폼의 인공지능 분석 도구를 활용해 조선내화가 생산한 데이터를 토대로 제품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시연이 진행됐다. 전문 지식이 없는 사람도 간단한 마우스 조작만으로 AI 모델을 쉽고 빠르게 생성할 수 있었으며, 제품의 불량 여부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었다.
플랫폼 서비스 포털 개발을 추진한 신성철 KAIST 총장은 "KAIST의 제조인공지능 빅데이터센터, 인공지능대학원, 산업공학과, 기계공학과 등이 협력해 세계 최고의 인공지능 제조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내년 하반기부터 제조기업이 다양한 인공지능 제조 솔루션을 선택해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 스토어'를 운영해 인공지능 제조를 본격 확산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행사에선 AI와 데이터 기반 제조혁신의 민관협력 구심점 역할을 할 '한국인공지능제조이니셔티브(KAMP.AI)' 출범식이 진행됐다. 서울대, KAIST, NHN, KT, LG CNS, 포스코ICT 등이 모여 설립한 비영리법인으로, 초대 이사장에 차상균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장이 선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