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도입 계획 질문에 답변하는 박능후 장관.  연합뉴스
코로나19 백신 도입 계획 질문에 답변하는 박능후 장관. 연합뉴스


코로나 백신 확보에 우리 역시 뒤처지지 않았다. 최대 4400만 명분의 백신 물량을 확보한 것이다.

백신을 판 세계적 제약사들은 '부작용 면책'을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정부는 수용할 수밖에 없는 부분이라는 입장이다.

8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 따르면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얀센, 모더나 등 글로벌 제약사 4곳을 통해 약 3400만 명분의 백신을 선(先) 구매할 방침이다. 우리 정부는 앞서 백신 공동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 1000만 명분의 백신을 확보했다.

다음은 백신 확보 계획과 관련한 복지부, 질병청, 식약처 등 보건당국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 글로벌 제약사를 통해 구매하는 백신은 얼마나 되나.

"정부는 우선 제약사 4곳을 통해 최대 6400만 회 분량, 접종자 기준으로 본다면 약 3400만 명분의 물량을 선구매한다. 이번에 선구매한 백신은 내년 2·3월부터 단계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 백신을 개발 중인 제약사 다수가 부작용에 대한 면책을 요구한다고 알려졌는데.

"현재 거론되는 코로나19 백신은 완전히 완성된 제품이 아니다. 만약 문제가 발생했을 때 100% 기업이 다 책임지라고 요구하면 선구매를 통해 물량을 공급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면책 등과 같은 구체적인 내용은 계약의 세부적인 사항을 공개하지 않기로 한 약속에 따라 밝히는 게 적절하지 않다."

- 백신을 선구매한 만큼 국내에 들어오면 바로 맞을 수 있는 것인가.

"일단 백신 도입은 내년 1분기부터 진행하는 것으로 예정하고 있다. 다만 백신 물량을 국내에 공급한 이후 철저하게 준비하는 것이 먼저이다. 백신을 접종하는 시기는 여러 상황을 고려해서 탄력적으로 정해질 것 같다."

- 만약 개발 중인 백신에 심각한 문제가 생겨 개발이 중단되면 계약금을 돌려받을 수 있나.

"원칙적으로 선구매 분은 개발 실패에 대한 위험을 안고 들어가는 계약이다. 개발이 실패하더라도 계약금이나 제품 대금은 돌려받을 수 없다."

김동준기자 blaams89@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