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공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를 2017년 대비 37.5%로 정했다. 이는 24.4%로 설정한 국가감축 목표보다 상향된 것이다.

환경부는 8일부터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공공부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운영 등에 관한 지침' 개정안을 20일간 행정예고한다고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2017년 공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400만t"이라며 "2030년에는 배출량을 260만t까지 줄이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앞서 2011∼2020년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감축 목표를 기준배출량(2007∼2009년 평균 배출량) 대비 30%로 설정한 바 있는데, 이번에는 2021~2030년까지의 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2050년 이전까지 나머지 50%를 추가 감축해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부는 향후 감축 목표를 더욱 강화할 여지도 남겼다. 2025년에 감축 실적, 추후 배출전망치, 감축 잠재량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목표 상향 등을 재검토할 수 있도록 했다.

정부는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선 사용 전력량의 100%를 2050년까지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조달하는 'RE100'을 공공부문이 선도적으로 이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여러 가지 제도적 장치를 운용하기로 했다. 일례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구매, 제3자전력구매계약(PPA) 지분참여 등으로 인정받은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목표치 달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공공부문이 재정지원을 통해 지역 주민 또는 초중고 등에 수소전기차를 보급한 경우에도 해당 기관의 온실가스 감축 실적으로 추가 인정할 수 있게 했다. 실적 사용 한도도 기준배출량의 10%에서 20%로 상향했다. 은진기자 jineun@dt.co.kr

인천 서구 신인천복합화력발전소 모습.  <연합뉴스>
인천 서구 신인천복합화력발전소 모습.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