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은혜(사진) 국민의힘 대변인이 3일 SNS에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을 소환한 추미애 법무부 장관을 향해 "이제 또 누구를 안고 뛰어내리려 할지 걱정된다"고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입에 담기에도 참담한 말"이라고 반발하면서 즉각적인 사과를 요구했다.
추 장관은 이날 자신의 SNS에 "검찰은 이제 누구도 건드리지 못하는 무서운 집단이 됐다. 전직 대통령도, 전직 총리도, 전직 장관도 가혹한 수사활극에 희생되고 말았다"면서 "검찰을 인권을 수호하는 검찰로 돌려 놓겠다. 흔들림 없이 전진하겠다"고 했다. 글 말미에는 "동해 낙산사에서 고 노무현 대통령님 영전에 올린 저의 간절한 기도이고 마음"이라고 덧붙였다.
김 대변인은 추 장관이 노 전 대통령을 끌어들여 방패로 삼으려 한다고 공격했다. 김 대변인은 구두논평을 내고 "국민에게 외면당한 법무부 장관의 마지막 몸부림을 본다. 법무부 감찰위, 법원, 심지어 믿었던 측근까지 등을 돌리자, 이젠 돌아가신 분까지 끌어들이고 있다"면서 "'의원 추미애'가 노 전 대통령 탄핵을 주도했던 하소연을 왜 국민이 들어야 하나. 구차한 변명은 친문 세력과 따로 만나 하시라"고 했다. 김 대변인은 또 "한 줌 권력을 막판까지 남김없이 흡입하려는 망자(亡者) 소환, 한 평생 공정과 통합의 결단을 해온 고인이 들으면 혀를 끌끌 찰 일"이라며 "'백척간두(百尺竿頭)에서 흔들림 없이 진일보(進一步)'하면 추락이다. 갈피를 못 잡는 장관, 이제 또 누구를 안고 뛰어내리려 할지 걱정된다"고 덧붙였다. 법원의 결정과 법무부 감찰위의 권고를 토대로 추 장관이 무리하게 윤석열 검찰총장을 감찰하고 직무배제 조치를 한 것이 잘못이라는 비판을 가한 것이다. 친야권 성향의 논객들도 가세했다. 진중권 전 교수는 "자기가 위태롭게 되자 노무현의 추억을 소환해 다시 지지자들을 결집시키겠다는 속셈"이라고 폄훼했고, 국민의힘 송파병 당협위원장인 김근식 경남대 교수는 "급하긴 급했나 보다. 자신이 탄핵했던 노 대통령 영정사진까지 소환했다"고 비꼬았다.
그러나 김 대변인이 노 전 대통령의 죽음에 빗대 '추락'과 '뛰어내리려 한다'는 등의 표현을 사용해 민주당의 반발을 샀다. 허영 민주당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우리는 소중한 분을 잃었다. 국민의힘 전신인 한나라당의 정권에서 당시 검찰의 선택적 정의와 기획된 수사에 우리는 속수무책으로 소중한 분을 보내야만 했다"면서 "그러한 정권에서 뒷짐만 지고 있었던 사람들이 이제는 그분을 언급하며 검찰을 옹호하고 있다"고 했다. 허 대변인은 "말에는 그 사람의 인격이 담겨 있다. 적어도 존중받아야 하는 인간이라면 상대방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는 갖춰야 한다"며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이라면, 공당의 대변인이라면 아무 말이나 내뱉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사과와 함께 징계를 요구했다.
이와 관련 김 대변인은 "해당 표현은 노 전 대통령을 빗대거나 염두에 둔 발언이 아니다"라고 했다.
김미경기자 the13ook@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