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멀미예측 SW 개발
ETRI 연구진이 'VR 멀미 분석 및 모니터링 기술'을 활용해 저감된 VR 콘텐츠를 체험하고 있다.  ETRI 제공
ETRI 연구진이 'VR 멀미 분석 및 모니터링 기술'을 활용해 저감된 VR 콘텐츠를 체험하고 있다. ETRI 제공


AI(인공지능)를 활용해 가상현실(VR)을 즐길 때 생기는 멀미를 정량적으로 분석해 줄여주는 기술이 나왔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AI 기술 기반으로 VR 콘텐츠 체험 과정에서 나타나는 멀미를 정확히 예측하는 SW(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VR은 교육,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지만,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등을 장시간 착용할 경우 사용자에 따라 멀티나 구토, 어지러움 현상이 발생해 서비스 확산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연구팀은 500명의 사용자로부터 실험 데이터를 얻어 기계학습에 적용해 VR 요소와 VR 멀미 간 상관성을 도출할 수 있는 'VR 휴먼 팩터 기반 VR 멀미 분석 및 모니터링 도구'를 개발했다. 이 도구는 사용자로부터 생체신호 정보을 얻어 AI로 VR 멀미를 예측하는 학습엔진 SW로, 개인별 VR 멀미 패턴을 관찰해 분석할 수 있다. 이 기술은 개인 휴대형 생체신호 장비와 연동돼 심리·정신분석을 위한 SW로 활용되고 있다. 실제로, 메딕션사는 'VR 기반 알코올 중독 치료기'인 '메디션-S'에 SW를 탑재해 의료기기 허가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연구팀이 개발한 'VR 멀미 저감용 콘텐츠 저작도구'를 활용하면 콘텐츠 제작 과정에 VR 요소들을 실시간 조절할 수 있어 쉽게 멀미를 줄일 수 있다. 기존에는 VR 콘텐츠 개발 시 멀미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수작업으로 조정해야 했지만, 레벨 1∼5까지 정량적 지표를 통해 객관적으로 콘텐츠를 수정할 수 있다. 일반 게임 개발에 널리 쓰이는 상용 유니티 게임 엔진 프로그램과도 쉽게 호환할 수 있다. ETRI는 공동 연구기관인 드래곤플라의 '스페셜 포스 VR 인베이젼'에 관련 기술을 적용해 게임 중 멀미를 줄이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손욱호 ETRI CG/비전연구실 박사는 "VR 멀미 분석 및 예측기술을 고난도 작업 훈련과 정신질환 치료, 의료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해 상용화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준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