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이 10조원 넘게 급증했다.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10월 기준 최대 규모다. 전셋값 상승으로 전세자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한 데다가 계절적 요인이 더해진 영향이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10월 금융시장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 규모는 전월대비 10조6000억원 증가한 968.5조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8월(11조7000억원)에 이어 역대 두번째로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2004년 통계 집계 이래 10월 기준 사상 최대치다. 한 달 전(9조6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커졌다.
주택담보대출은 전월 대비 6조8000억원 증가했다. 전월 증가폭 보다 1000억원 늘어난 것으로 전년 동월 대비 2조2000억원 증가했다. 이 중 전세대출은 3조원으로 세달 연속 3조원대를 웃돌았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은 3조8000억원 전월 대비 8000억원 늘었다. 지난 8월 5조7000억원에서 9월 3조원으로 하락한 뒤 한달 만에 반등했다. 주택과 주식 자금수요에 더해 추석 연휴 소비자금 결제 등 계절적 요인이 더해지면서 증가폭이 컸다.
윤옥자 한국은행 시장총괄팀 과장은 "최근 전세 거래가 줄었지만 전셋값 상승으로 전세자금 대출은 계속 늘고 있다"며 "주택 매매와 집단대출까지 실행되면서 주택담보대출이 상당폭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기업대출은 지난달보다 2배 가까이 증가한 9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대기업대출이 1조원, 중소기업이 8조2000억원 늘었다. 중기대출의 경우 은행과 정책금융기관의 금융지원, 부가가치세 납부 관련 자금수요 등으로 증가폭이 확대됐다.
이날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10월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2금융권 대출도 일제히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은 두 달 연속 4000억원 증가했다. 전년 동월 대비 1조1000억원 확대된 수치다. 기타대출은 2조1000억원 늘었는데, 이 중 신용대출이 7000억원 수준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계절적 요인으로 9월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며 "신용대출은 지난 8월보다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지만 전체적인 가계대출 증가세는 지난해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은행권 수신 규모는 2조3000억원으로 지난달 41조1000억원에서 큰 폭으로 축소됐다. 수시입출금식 예금이 기업의 부가가치세 납부를 위한 인출 등으로 감소세로 전환했고, 정기예금은 은행의 규제비율 관리를 위한 법인자금 유치 등으로 2조5000억원 느는데 그쳤다.
반면 자산운용사로 유입된 자금은 14조9000억원에서 전월 대비 증가세로 전환했다. 단기간에 수익을 얻는 금융상품 머니마켓펀드(MMF) 수신액은 12조700억원으로 늘었다. 3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인출된 자금이 재유입된 영향이다. 주식형, 채권형 펀드도 각각 1조원, 1조4000억원 늘었다.
3년물 국고채 금리는 이달 10일 기준 0.98%로 전월말 대비 0.4%포인트 증가했다. 미국의 추가 경기부양책 합의에 대한 기대감, 국내외 긍정적 경제지표 발표, 미 대선 결과 등의 영향으로 주요국 금리와 동시에 상승했다.
코스피 역시 10월말 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는데, 미 대선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양호한 경제지표 등의 영향을 받았다는 게 한국은행의 설명이다.
황두현기자 ausure@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