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 7명 임직원 가담 의혹…검찰 증거자료 확보 KB증권·금감원 압수수색 5일 증권사 제재심 열려…박정림 KB증권 대표 중징계 심의에도 부정적 영향 예상 라임자산운용 부실 사모펀드 사건과 관련해 KB증권의 담당 직원도 가담했다는 정황이 드러났다. 현재 검찰은 KB증권을 포함해 금융감독원을 압수수색하며, 관련 증거 확보에 나서고 있다.
4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은 지난 3일 라임펀드 사건과 관련한 증거자료 확보를 위해 금감원 금융투자검사국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금감원 압수수색 직후 우리은행 본점에 대한 2차 압수수색에도 나서 수사가 본궤도에 오른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달에는 신한금융투자·KB증권·한국금융투자 등 주요 판매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벌였다.
검찰은 김모 KB증권 델타원솔루션팀장을 포함한 KB증권 7명 임직원이 이종필 전 라임자산운용 부사장과 모의해 라임펀드의 부실을 고의적으로 은폐한 것으로 보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금감원은 이와 관련한 혐의에 대해 지난 6월말 검찰에 관련 내용을 통보했다.
김모 팀장은 라임자산운용이 운용한 펀드 중 국내 코스닥 전환사채(CB)에 투자한 '라임 테티스2호'를 적극 활용했다. 당시 KB증권은 라임자산운용과 펀드자금의 300%를 레버리지(대출)해주는 총수익스와프(TRS) 계약을 맺었다. 이를 통해 라임자산운용은 KB증권에 100억원의 펀드를 맡기고, 300억원의 레버리지로 부실기업 CB를 매입했다.
하지만 이후 KB증권 내부적으로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라임펀드 비중을 줄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당시 라임펀드는 모펀드와 자펀드가 복잡하게 얽힌 폰지(다단계 사기)사기 구조로 돼, KB증권에서 레버리지를 회수할 경우 수익률이 줄어 투자자들의 이탈이 불가피했다.
이에 따라 김모 팀장과 이종필 전 라임운용 부사장은 포트코리아자산운용의 펀드를 라임펀드 사이에 끼어 직접적인 연결고리를 끊었다. 예컨대 라임 플루토 및 새턴 등→포트코리아 런앤히트→라임 테티스2호 등 구조를 만들어, 레버리지 회수 없이 '라임 테티스2호' 등에 4000억원의 자금을 계속 운용해왔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의 피해규모가 더 커지게 됐다.
또한 이 과정에서 김모 팀장은 배우자 명의로 SPC(특수목적법인)을 세워 뒷돈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업무상 배임 소지가 있는 대목이다. 금융당국도 불건전 영업행위 금지 차원에서 별도의 제재가 가능하다.
앞서 신한금융투자의 임모 전 프라임브로커(PBS)본부장도 이와 비슷한 수법으로 라임펀드 부실을 숨기고 계속 판매한 혐의로, 지난 9월 1심에서 징역 8년을 선고받았다. 투자자를 속이고 라임펀드를 불완전판매한 대신증권 장모 전 센터장도 지난 3일 1심에서 징역 10년이 구형된 상태다.
이번 사태로 라임 펀드를 판매한 증권사의 징계 수위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29일 대신증권·신한금융투자·KB증권을 대상으로 금감원 제재심위원회가 열렸다. 기관 징계를 포함해, △김병철 전 신한금융투자 대표 △나재철 전 대신증권 대표 △윤경은 전 KB증권 대표 △박정림 KB증권 대표 등 전·현직 CEO 징계도 함께 심의·논의됐다. 중대한 상황인 만큼 오는 5일 2차 제재심에서 추가 논의될 예정이다.
이번 제재심에서 전·현직 임원들에게 직무정지 이상 중징계 처분이 내려지면, 향후 이들의 금융사 재취업이 4년간 제한된다. 특히 올 연말 임기 만료인 박정림 KB증권 대표의 경우 연임마저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김병탁기자 kbt4@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