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기술연, 에너지자립형 스마트팜 실증사업 추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태양열과 지열 등 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을 적용한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팜 실증사업'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팜은 시설농가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를 화석연료 대신 태양광, 지열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으로 대체해 에너지를 저장·공급하는 친환경·고효율 미래형 온실이다.

이 스마트팜은 난방부하 80%, 냉방부하 50% 이상을 담당할 수 있는 복합 계간축열식 태양열과 지열원 히트펌프를 3900㎡(1180평) 규모의 온실에 적용해 운영된다. 계간축열식은 봄부터 가을까지 생산한 열을 저장했다가, 겨울에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스마트 팜은 열과 전기를 동시 생산하는 'PVT 집열기'와 '일반 태양열 집열기', '지열원 히트펌프 시스템', 탱크축열 및 지중축열을 복합 활용하는 '계간축열조' 등으로 구성됐다.

연구팀은 국내 최초의 컨소시엄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인 '푸르메 여주팜'에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 팜을 조성해 신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생산·저장·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연간 에너지 비용의 70% 이상을 절감할 수 있는지를 실증할 계획이다.

또한 스마트 팜 적용 기술을 고도화하고, 비즈니스 모델 및 표준 모델 개발, 사후관리 등 유지보수 방안을 개발할 예정이다.

김민휘 에너지기술연 선임연구원은 "안정적인 작물 생산과 에너지 절감 및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재생에너지 융합기술 활용을 통해 스마트시티와 그린뉴딜 확산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사업은 농림부의 지원을 받아 에너지기술연, 장한기술, 경북대 등이 참여해 태양열·지열 융복합 에너지 생산·저장·관리 및 실증 모델 구축을 목표로 추진된다.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지난달 29일 경기 여주 '푸르메 여주팜'에서 '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 기반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팜 실증사업'을 위한 착공식을 가졌다.  에너지기술연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지난달 29일 경기 여주 '푸르메 여주팜'에서 '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 기반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팜 실증사업'을 위한 착공식을 가졌다. 에너지기술연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준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