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기술연, 에너지자립형 스마트팜 실증사업 추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태양열과 지열 등 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을 적용한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팜 실증사업'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팜은 시설농가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를 화석연료 대신 태양광, 지열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으로 대체해 에너지를 저장·공급하는 친환경·고효율 미래형 온실이다.
이 스마트팜은 난방부하 80%, 냉방부하 50% 이상을 담당할 수 있는 복합 계간축열식 태양열과 지열원 히트펌프를 3900㎡(1180평) 규모의 온실에 적용해 운영된다. 계간축열식은 봄부터 가을까지 생산한 열을 저장했다가, 겨울에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스마트 팜은 열과 전기를 동시 생산하는 'PVT 집열기'와 '일반 태양열 집열기', '지열원 히트펌프 시스템', 탱크축열 및 지중축열을 복합 활용하는 '계간축열조' 등으로 구성됐다.
연구팀은 국내 최초의 컨소시엄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인 '푸르메 여주팜'에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 팜을 조성해 신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생산·저장·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연간 에너지 비용의 70% 이상을 절감할 수 있는지를 실증할 계획이다.
또한 스마트 팜 적용 기술을 고도화하고, 비즈니스 모델 및 표준 모델 개발, 사후관리 등 유지보수 방안을 개발할 예정이다.
김민휘 에너지기술연 선임연구원은 "안정적인 작물 생산과 에너지 절감 및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재생에너지 융합기술 활용을 통해 스마트시티와 그린뉴딜 확산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사업은 농림부의 지원을 받아 에너지기술연, 장한기술, 경북대 등이 참여해 태양열·지열 융복합 에너지 생산·저장·관리 및 실증 모델 구축을 목표로 추진된다.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지난달 29일 경기 여주 '푸르메 여주팜'에서 '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 기반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팜 실증사업'을 위한 착공식을 가졌다. 에너지기술연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태양열과 지열 등 재생에너지 융복합 시스템을 적용한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팜 실증사업'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팜은 시설농가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를 화석연료 대신 태양광, 지열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원으로 대체해 에너지를 저장·공급하는 친환경·고효율 미래형 온실이다.
이 스마트팜은 난방부하 80%, 냉방부하 50% 이상을 담당할 수 있는 복합 계간축열식 태양열과 지열원 히트펌프를 3900㎡(1180평) 규모의 온실에 적용해 운영된다. 계간축열식은 봄부터 가을까지 생산한 열을 저장했다가, 겨울에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스마트 팜은 열과 전기를 동시 생산하는 'PVT 집열기'와 '일반 태양열 집열기', '지열원 히트펌프 시스템', 탱크축열 및 지중축열을 복합 활용하는 '계간축열조' 등으로 구성됐다.
연구팀은 국내 최초의 컨소시엄형 장애인 표준사업장인 '푸르메 여주팜'에 에너지 자립형 스마트 팜을 조성해 신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생산·저장·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연간 에너지 비용의 70% 이상을 절감할 수 있는지를 실증할 계획이다.
또한 스마트 팜 적용 기술을 고도화하고, 비즈니스 모델 및 표준 모델 개발, 사후관리 등 유지보수 방안을 개발할 예정이다.
김민휘 에너지기술연 선임연구원은 "안정적인 작물 생산과 에너지 절감 및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재생에너지 융합기술 활용을 통해 스마트시티와 그린뉴딜 확산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사업은 농림부의 지원을 받아 에너지기술연, 장한기술, 경북대 등이 참여해 태양열·지열 융복합 에너지 생산·저장·관리 및 실증 모델 구축을 목표로 추진된다.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