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과 농촌진흥청 소속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생명공학(바이오)기업-재배농가-한국바이오협회와 공동으로 2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에이티센터에서 나고야의정서 대응을 위한 '생물소재 국산화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나고야의정서 대응을 위한 생물소재의 국산화를 추진하는 기업과 재배농가의 협업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나고야의정서(Nagoya Protocol)는 2010년 일본 나고야에서 채택되고 2014년 발효된 협약으로 '유전자원의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의 공정하고 공평한 공유'를 실현하기 위한 국제적 약속이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생명공학기업은 국산 재배작물을 이용한 상품개발과 장기적 이용 방안을 모색하고, 재배 농가는 단삼·병풀·새싹삼 등 국내 재배종의 생물 소재가 표준화된 품질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호 협력하게 된다.
또 국립생물자원관은 국내 유전자원인 자생생물 소재의 활용정보와 해외 생물자원의 이용 정보를 기업과 농가에 제공해 생물산업 지원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국산 재배종의 품질 표준화를 위해 품종 재배기술을 개발해 농가에 보급하고 국내 재배 농가 현황을 공유해 기업이 필요로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 협조하기로 했다.
은진기자 jineun@dt.co.kr
이번 업무협약은 나고야의정서 대응을 위한 생물소재의 국산화를 추진하는 기업과 재배농가의 협업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나고야의정서(Nagoya Protocol)는 2010년 일본 나고야에서 채택되고 2014년 발효된 협약으로 '유전자원의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의 공정하고 공평한 공유'를 실현하기 위한 국제적 약속이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생명공학기업은 국산 재배작물을 이용한 상품개발과 장기적 이용 방안을 모색하고, 재배 농가는 단삼·병풀·새싹삼 등 국내 재배종의 생물 소재가 표준화된 품질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호 협력하게 된다.
또 국립생물자원관은 국내 유전자원인 자생생물 소재의 활용정보와 해외 생물자원의 이용 정보를 기업과 농가에 제공해 생물산업 지원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국산 재배종의 품질 표준화를 위해 품종 재배기술을 개발해 농가에 보급하고 국내 재배 농가 현황을 공유해 기업이 필요로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 협조하기로 했다.
은진기자 jineun@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