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 착륙 위험성 문제삼아
총리실 정치적 부담에 신중 입장
'고? 스톱?'
김해공항의 설비를 늘리는 김해신공항 사업 추진이냐, 아니면 새로운 지역의 신공항이냐의 논쟁이 이달 중에 일단락 될 것으로 보인다. 김해신공항 사업의 적정성을 놓고 검증 작업을 진행해온 국무총리실의 결과 발표가 이달 중에 이뤄진다. 지역 경제에 워낙 영향이 커 주목된다.
◇안전성이 관건 = 산으로 둘러싸인 김해공항의 안전성이 관건이다. 부·울·경의 김해신공항에 대한 공식적인 반대 이유도 안전성 때문이다.
실제 2002년 김해공항 북쪽 돗대산과 부딪쳐 발생한 중국 민항기 추락 사고는 산으로 둘러싸인 공항의 위험성을 보여준다. 현재 김해공항은 남풍이 부는 경우 항공기가 북쪽으로 돌아 들어와 착륙해야 하기 때문에 북쪽의 돗대산과 충돌할 위험이 있다.
이에 국토부는 돗대산과의 충돌 위험을 신설 'V'자 활주로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신설 활주로를 서북-남동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놓으면 북풍이 불 때나 남풍이 불 때나 장애물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신설 활주로의 적정 길이를 두고서도 양측은 대립하고 있다. 국토부가 계획 중인 활주로 길이는 3.2㎞인데 부·울·경은 대형기가 이착륙하기에는 짧다며 활주로 길이가 최소 3.7㎞가 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항공기 성능자료를 우선 적용하도록 규정한 비행장시설 설계 매뉴얼에 따라 활주로 길이를 산정했다고 설명했다.
◇동남권 신공항 '논란의 역사' = 동남권 신공항 논란의 출발점은 200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2년 4월 15일 중국국제항공 여객기가 기상악화로 돗대산에 추락한 사고를 계기로 동남권 신공항의 필요성이 본격 논의됐다.
이후 정치권에서는 지역 표심을 얻기 위해 앞다퉈 신공항을 공약으로 내걸었고 가덕도를 지지하는 부산과 밀양을 지지하는 대구가 감정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 2016년 6월 기존 김해공항에 활주로 1본을 더 건설하는 김해신공항안을 내놨다.
이로써 일단락되는 듯 싶었던 동남아 신공항 논란은 오거돈 전 부산시장이 '가덕도 신공항'을 공약으로 제시하며 다시 불을 지폈다. 또 김경수 경남도지사와 송철호 울산시장이 오 전 시장에 힘을 보태며 정부에 압박을 가했다.
결국 국토부와 부·울·경은 동남권 관문 공항으로서 김해신공항의 적정성에 대해 총리실에서 논의하기로 하고, 그 검토 결과에 따르기로 지난해 합의했다.
◇결국 정치논리가 국가 경제적 대사를 결정하나 = 이처럼 부·울·경과 국토부가 팽팽히 맞서는 상황에서 결국 정치 논리가 신공항의 입지를 결정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특히 정세균 국무총리와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 등이 잇따라 김해신공항 백지화에 무게를 실어주는 발언을 하자 부·울·경은 검증 결과에 기대를 품는 분위기다.
국토부 관계자는 "총리실이 김해신공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있고 국토부의 기본계획안이 검증 대상인만큼 그 결과가 나오기 전에 입장을 내놓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을 아꼈다.
총리실의 정치적 부담이 커지면서 어떤 결론을 내든 간에 논란이 재연될 수밖에 없다는 관측도 많다.
김해신공항이 적정하다는 결과가 나오면 재검증을 요청한 부·울·경의 반발이 불 보듯 뻔하고, 김해신공항안이 백지화된다면 지자체 합의로 결정한 국책사업을 뒤집었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총리실이 정치적 부담을 덜기 위해 사안별 검증 결과만 발표하고 김해신공항 사업을 지속할지 백지화할지 종합적인 판단은 미룰 수 있다는 관측도 일각에서 나온다.
김동준기자 blaams89@dt.co.kr
총리실 정치적 부담에 신중 입장
'고? 스톱?'
김해공항의 설비를 늘리는 김해신공항 사업 추진이냐, 아니면 새로운 지역의 신공항이냐의 논쟁이 이달 중에 일단락 될 것으로 보인다. 김해신공항 사업의 적정성을 놓고 검증 작업을 진행해온 국무총리실의 결과 발표가 이달 중에 이뤄진다. 지역 경제에 워낙 영향이 커 주목된다.
◇안전성이 관건 = 산으로 둘러싸인 김해공항의 안전성이 관건이다. 부·울·경의 김해신공항에 대한 공식적인 반대 이유도 안전성 때문이다.
실제 2002년 김해공항 북쪽 돗대산과 부딪쳐 발생한 중국 민항기 추락 사고는 산으로 둘러싸인 공항의 위험성을 보여준다. 현재 김해공항은 남풍이 부는 경우 항공기가 북쪽으로 돌아 들어와 착륙해야 하기 때문에 북쪽의 돗대산과 충돌할 위험이 있다.
이에 국토부는 돗대산과의 충돌 위험을 신설 'V'자 활주로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신설 활주로를 서북-남동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놓으면 북풍이 불 때나 남풍이 불 때나 장애물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신설 활주로의 적정 길이를 두고서도 양측은 대립하고 있다. 국토부가 계획 중인 활주로 길이는 3.2㎞인데 부·울·경은 대형기가 이착륙하기에는 짧다며 활주로 길이가 최소 3.7㎞가 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국토부는 항공기 성능자료를 우선 적용하도록 규정한 비행장시설 설계 매뉴얼에 따라 활주로 길이를 산정했다고 설명했다.
◇동남권 신공항 '논란의 역사' = 동남권 신공항 논란의 출발점은 200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2년 4월 15일 중국국제항공 여객기가 기상악화로 돗대산에 추락한 사고를 계기로 동남권 신공항의 필요성이 본격 논의됐다.
이후 정치권에서는 지역 표심을 얻기 위해 앞다퉈 신공항을 공약으로 내걸었고 가덕도를 지지하는 부산과 밀양을 지지하는 대구가 감정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 2016년 6월 기존 김해공항에 활주로 1본을 더 건설하는 김해신공항안을 내놨다.
이로써 일단락되는 듯 싶었던 동남아 신공항 논란은 오거돈 전 부산시장이 '가덕도 신공항'을 공약으로 제시하며 다시 불을 지폈다. 또 김경수 경남도지사와 송철호 울산시장이 오 전 시장에 힘을 보태며 정부에 압박을 가했다.
결국 국토부와 부·울·경은 동남권 관문 공항으로서 김해신공항의 적정성에 대해 총리실에서 논의하기로 하고, 그 검토 결과에 따르기로 지난해 합의했다.
◇결국 정치논리가 국가 경제적 대사를 결정하나 = 이처럼 부·울·경과 국토부가 팽팽히 맞서는 상황에서 결국 정치 논리가 신공항의 입지를 결정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특히 정세균 국무총리와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 등이 잇따라 김해신공항 백지화에 무게를 실어주는 발언을 하자 부·울·경은 검증 결과에 기대를 품는 분위기다.
국토부 관계자는 "총리실이 김해신공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있고 국토부의 기본계획안이 검증 대상인만큼 그 결과가 나오기 전에 입장을 내놓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을 아꼈다.
총리실의 정치적 부담이 커지면서 어떤 결론을 내든 간에 논란이 재연될 수밖에 없다는 관측도 많다.
김해신공항이 적정하다는 결과가 나오면 재검증을 요청한 부·울·경의 반발이 불 보듯 뻔하고, 김해신공항안이 백지화된다면 지자체 합의로 결정한 국책사업을 뒤집었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총리실이 정치적 부담을 덜기 위해 사안별 검증 결과만 발표하고 김해신공항 사업을 지속할지 백지화할지 종합적인 판단은 미룰 수 있다는 관측도 일각에서 나온다.
김동준기자 blaams89@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