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 자회사 참석 행사서
전체시장 65% 점유율 겨냥
김형진 협회장 '작심 발언'

장석영(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양원용(맨 왼쪽) KB국민은행 알뜰폰사업단장, 김형진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장이 27일 서울 서대문역 인근에서 열린 '알뜰폰 스퀘어 개소식' 에 참석해 알뜰폰 스퀘어 로고 세레모니를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장석영(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 양원용(맨 왼쪽) KB국민은행 알뜰폰사업단장, 김형진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장이 27일 서울 서대문역 인근에서 열린 '알뜰폰 스퀘어 개소식' 에 참석해 알뜰폰 스퀘어 로고 세레모니를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KT그룹의 자회사 KT스카이라이프가 알뜰폰 시장 진출을 앞둔 상황에서 대형 변수를 만났다. 알뜰폰 업계가 이동통신 3사 자회사의 알뜰폰 점유율을 낮추고, 향후 3년 후에는 철수시켜야 한다고 직격탄을 날린 것이다.

27일 서울 서대문구에서 열린 '알뜰폰 스퀘어 개관식'에서 김형진 알뜰폰사업자협회장(세종텔레콤 회장)이 이통사의 알뜰폰 시장 철수를 요구하는 발언을 쏟아냈다. 이통사 계열 알뜰폰 관계자들이 함께 한 자리에서 나온 '작심발언'으로, 향후 이통사의 알뜰폰 사업확대를 견제하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특히 조만간 알뜰폰 사업진출이 예고되고 있는 KT스카이라이프를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이날 김형진 알뜰폰사업자협회장은 "과기정통부가 중소알뜰폰 사업자들에게 자율적으로 판매정책을 쓸 수 있는 법·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주기를 부탁한다"고 요청한 후 "알뜰폰 점유율의 50%를 확보하고 있는 통신사들의 점유율을 낮추고 3년 뒤에 철수하게 하는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과기정통부 장관 고시 등을 통해 이통 3사가 알뜰폰 시장을 주도하는 구조를 차단하고, 독립계 알뜰폰 업계가 마음 놓고 사업을 전개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LG유플러스가 LG헬로비전(구 CJ헬로)을 인수하면서 '1사(이통사) 1자회사(알뜰폰)' 원칙이 폐지됐고, KT그룹도 기존 KT 엠모바일 이외에 추가로 자사 계열사인 KT스카이라이프를 알뜰폰 시장에 추가 진입시키기 위한 작업에 나서고 있다. 실제 KT스카이라이프는 앞서 지난 7월 알뜰폰 시장 진출을 선언한 바 있다.

그러나 이날 기존 알뜰폰 업계가 통신사들의 알뜰폰 시장 확대를 견제하고 나서면서, KT스카이라이프가 예정대로 알뜰폰 시장에 진입할 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당초 9월로 예정됐던 KT스카이라이프의 알뜰폰 시장 진출 일정이 계속 늦춰지고 있다.

조명희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현재 알뜰폰 시장은 LG헬로비전·미디어로그(LG유플러스), KT엠모바일(KT), SK텔링크 세븐모바일(SK텔레콤) 등 이동통신 자회사들의 가입자·매출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이동통신사 자회사의 매출액은 전체 시장의 65.1%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이날 개소식에 참석한 장석영 과기정통부 2차관은 이통사들의 알뜰폰 시장 철수 주장과 관련해 "단정적으로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면서 즉답을 회피했다. 특히 KT스카이라이프 알뜰폰 진출 허용 여부에 대해서도 "여러 회의를 하며 의견을 듣고 있다"고 말을 아꼈다.

한편, 이날 오픈한 알뜰폰 스퀘어는 정부가 지난 8월 내놓은 알뜰폰 활성화 대책의 일환으로 누구나 알뜰폰과 다양한 단말기를 체험할 수 있도록 조성됐다. 정부는 이와 함께 전파사용료 감면 기한을 2년 연장(2022년12월31일)키로 했다. 다만 알뜰폰 활성화를 위한 망 도매 대가 인하 추진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김은지기자 kej@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