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검찰·경찰 개혁 전략회의 국가 수사본부, 독립성 제고위해 매우 면밀히 설계 완결성 높여야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2차 국정원·검찰·경찰 개혁 전략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21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는 입법과 행정적인 설립 준비가 이미 다 끝난 상태인데도 출범이 늦어지고 있다"며 "조속히 출범하여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당정청이 합심하고, 공수처장 추천 등 야당과의 협력에도 힘을 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정원·검찰·경찰 개혁 전략회의에서 "우리는 그동안 각 기관의 권한을 조정하고 배분하거나 법과 제도를 일부 수정하는 정도가 아니라 국민을 위해 다시 태어난다는 각오로 권력기관 개혁을 추진해 왔다"며 "이제 남은 과제들의 완결을 위해 더욱 매진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검찰과 경찰에는 "검찰과 경찰이 합심하여 인권보장 규정을 마련한 것은 매우 잘 된 일"이라며 "(검·경)수사권 개혁은 당정청의 노력으로 속도가 나고 있다. 마지막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고 마무리를 잘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이어 "국가 수사본부는 경찰수사의 독립성과 수사역량 제고를 위해 매우 면밀하게 설계되어야 할 조직"이라며 "국민들이 경찰수사에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완결성을 높여 출범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국정원에 대해서는 " 대북·해외 전문 정보기관으로서 오직 국민과 국가의 안위에만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조직과 인력을 새롭게 재편해야 할 것"이라며 "우리 정부 들어 달라진 국정원의 위상을 보면 정보기관의 본분에 충실할 때 국민으로부터 신뢰받고 소속원들의 자부심도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의 발언은 9월 정기국회에서 여당을 향해 공수처 법안 처리를 압박하는 동시에 자녀 군 복무 관련 의혹이 불거진 추미애 법무부 장관을 감싼 행보로 해석된다. 이날 행사에서 문 대통령은 추 장관과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과 함께 정각에 입장했다. 대부분의 참석자들이 행사 시작 5분 전에 이미 착석해 있던 것과 차이가 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회의를 마치면서 법제화와 수사역량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권력기관 개혁은 공정과 정의로움을 위한 기본"이라며 "권력기관 스스로 개혁을 위해 노력을 해왔고 이제 법제화만 남았다. 한걸음 내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했다.
또한 청와대는 추 장관이 문 대통령과 함께 입장한 것과 관련해서는 '의전서열에 따른 영접'이라고 해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추 장관은 행사장 밖에서 영접 목적으로 대기하다가 문 대통령과 만나 들어온 것"이라며 "통상적으로 비서실장이 영접하고, 내각에서 할 때는 의전서열에 따라 영접하게 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