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장우진 기자] 현대차그룹이 수소·전기차 성장성에 힘입어 28개월 만에 상장사 기준으로 시가총액(보통주 기준) 100조원을 회복했다.
21일 한국거래소 등에 따르면 지난 17일 종가 기준 현대차그룹 12개 상장 계열사의 전체 시가총액은 100조2272억원으로 집계됐다.
현대차그룹 시총이 100조를 회복한 것은 2018년 5월14일(100조3402억원) 이후 2년4개월 만이다.
현대차는 39조3149억원으로 그룹 내 1위, 상장사 전체 8위를 차지했으며 현대모비스(23조32억원), 기아차(19조6천601억원)가 뒤를 이었다. 이들 3개사의 시총 합계는 전체의 그룹 80%를 웃돈다.
현대차그룹은 2011년말 시총이 130조원에 육박했지만 이후 실적 부진 등으로 인해 부진한 모습을 보여왔으며 지난 3월19일에는 코로나19 여파로 45조2621억원까지 쪼그라들었다.
하지만 현대차그룹이 최근 내연기관차의 이미지를 탈피하고 수소·전기차 업체로 성장성이 부각되면서 주가도 다시 오르는 추세다. 특히 지난 7월14일 정부의 뉴딜 정책 발표 이후 주가는 급등세를 보였는데 현대차는 종가 기준 지난 7월14일 10만1500원에서 지난 17일에는 18만1000원으로 두달 여간 78%나 급등했다.
전망도 우호적이다. 글로벌 시장은 코로나 여파를 서서히 벗어나는 분위기고 내수 시장도 싼타페, 투싼 등 신차가 잇따라 투입되면서 안정적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내년에는 전용 플랫폼(G-EMP)을 탑재한 전기차 출시가 예고돼 있고 수소차 사업도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어 친환경차 시장에서도 입지가 강화되고 있다.
권순우 SK증권 애널리스트는 "3분기 이후로도 지속적인 신차 출시와 글로벌 확대, 신규 플랫폼 탑재율 증가, 인센티브 저감 등 원가개선 및 비용축소는 지속되고 있다"며 "신규 투자 및 연구개발을 지속하면서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의 가세로 국내 4대 그룹은 모두 시총 100조원 시대를 열게 됐다. 삼성그룹의 16개 상장 계열사 전체 시가총액은 525조원에 달하고, SK는 140조원을 바라보고 있다. LG도 지난 6월 2년여 만에 시총 100조원을 넘어섰으며 현재 115조원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