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장 비중 中-북미-중남미 順

보호무역과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글로벌 기업 가운데 약 64%가 사업장 이전 등 소재·부품·장비의 글로벌공급망(GVC) 재편을 최근 마쳤거나 계획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코트라(KOTRA)가 지난 6~8월 49개 해외무역관을 통해 글로벌 기업 246개사를 대상으로 소재·부품·장비 분야 글로벌가치사슬 재편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코트라는 글로벌 기업의 사업장 이전, 조달처 변경, 투자·인수합병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GVC 재편이 가장 활발한 지역은 중국(45%), 북미(35%), 중남미(35%)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기업 간 투자·인수합병이 가장 비중이 컸다.

GVC 재편 배경으로는 보호무역주의 심화(27%), 기술 고부가가치화(26%), 신흥국 소비시장 활용(26%) 등을 주로 꼽았다. 코로나19 확산 대응(20%)과 관련된 사유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코트라는 GVC 재편이 신흥 시장별 자체 공급망 강화, 중국을 둘러싼 새로운 가치사슬 형성, 기업 간 투자·제휴 활성화 등 3가지 유형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동남아·중남미 등 신흥시장에서 부품 조달과 제품생산, 판매·유통을 현지에서 모두 해결하는 공급망이 조성되고 있다는 해석이다. 자동차, 전기·전자 기업을 중심으로 중국 생산라인을 아세안·중남미 등지로 옮기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는데, 미·중 무역분쟁으로 중국산 제품의 대미 수출 관세 부담이 늘어난 것이 주 원인으로 지목됐다.

4차 산업혁명 시대, 고부가가치 신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글로벌 기업 간 합종연횡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고 코트라는 전했다. 첨단기술·디자인 개발을 희망하는 글로벌 기업 60%가 전략적 제휴를 추진 중이거나 제휴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트라는 GVC 재편에 대응하기 위해선 해외 진출 강화, 글로벌 기업과 연구개발 협업, 국내 GVC 생태계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김승룡기자 srkim@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