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올 2분기 가계 빚이 1600조를 훌쩍 넘기면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만 15조원 가까이 급증했다. 증권사 신용공여액도 8조 가량 늘었다, 빚내서 주식투자하는 '빚투족'이 그만큼 많았다는 의미다. 최근 주식시장은 기업실적에 기반 하지 않고 오르는 유동성 장세로 '거품' 경고등이 켜진 상황이다.

자칫 '빚투' 탓에 우리 가계가 '빚쟁이'로 전락할 공산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이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2분기 말 현재 가계신용 잔액은 1637조3000억 원에 달했다.

이는 통계를 처음 작성한 2002년 4분기 이래 높은 액수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을 더한 금액을 말한다. 간단히 포괄적인 가계 빚의 총액인 셈이다.

2분기 가계신용 총액은 지난 1분기 25조9000억 원보다 1.6% 늘었다.

가계신용 중 가계대출 잔액은 1545조7000억 원이었다. 역시 역대 최대 기록이다.

2분기 증가액만 23조9000억 원에 달한다. 이는 지난 2017년 4분기(28조7000억 원) 이후 가장 높은 액수다.

주택담보대출만 잔액이 873조원에 달했다. 2분기 증가액만 14조8000억 원이다. 이는 지난해 2분기(8조4000억 원)의 거의 두 배 규모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잔액 672조7000억 원)도 2분기에 9조1000억 원이나 늘었다.

특히 증권사의 신용공여액은 2분기에 7조9000억 원 늘어나 역대 최대치의 증가폭을 기록했다. 증권사 신용공여는 증권사 돈을 빌려 주식투자를 하는 것이다. 강민성기자 km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강민성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