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온라인 수업 등 영향
비대면 문화 확산에 수요↑



코로나19의 여파에 따른 온라인 수업 등 비대면 서비스의 확산으로 올 2분기 국내 PC 출하량이 지난해 2분기보다 46.3% 증가했다.

IT시장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인터내셔날데이터코퍼레이션코리아(한국IDC)는 11일 올 2분기 국내 PC 출하량이 데스크톱 66만대, 노트북 79만대로 합계 145만대라고 밝혔다. 올 2분기 PC출하량은 지난해 2분기 대비 46.3% 증가했다.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4월부터 시행한 초·중·고등학교의 온라인 수업으로 가정 내 PC수요가 대폭 증가한 점이 전체 시장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IDC는 화상 교육에 적합한 성능을 갖춘 합리적인 가격대의 메인스트림 또는 보급형 제품이 특히 높은 인기를 끌었다고 설명했다. 이동이 필요하지 않은 만큼 데스크톱을 선택한 소비자 비중은 54.7%로 노트북보다 많았다. 또한 가정에서 게임을 즐기는 수요층의 확대로 게이밍 PC 출하량은 전년 대비 36.3% 늘어났다.

시장별로 살펴보면 가정 내 교육용 PC는 소비자들이 가계 지출을 절감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두께 18~21㎜ 울트라슬림과 보급형 데스크톱을 주로 선택했다. 온라인 수업용 웹캠, 무선키보드/마우스, 외장하드 등 관련 용품을 제공하는 행사도 활발히 진행된 것으로 확인됐다. 커머셜 부문은 비즈니스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재택 및 원격 근무를 위한 노트북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결과 노트북 비중이 전년 대비 7.2%p 증가한 34.4%로 크게 확대됐다. 특히 공공과 교육 부문의 노트북 출하량은 전년 대비 약 1.5배 증가했다.

권상준 한국IDC 이사는 "상반기 국내 PC 출하량 증가는 코로나19가 촉발한 온라인 수업과 재택 근무에 의한 급격한 수요 증가로, 가계 수입의 감소와 기업 경기의 침체는 장기적으로 PC 수요를 저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IT 혁신 기술이 산업 전반에 도입됨에 따라 일하는 방식이 변하고 있으며, PC도 변화된 직무에 맞춰 페르소나 기반의 최적화된 기기와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가 제공돼야 한다"며 "기업은 내외부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변화하고, 조직 내 PC를 배포하는 방식도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서비스 형태로 진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위수기자 withsuu@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