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이상현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은 국내 최초로 AI 머신러닝을 활용한 플랜트 철골구조물 자동설계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특허를 출원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철골구조물 자동 설계시스템은 엔지니어가 직접 입력하는 수작업 방식보다 설계에 필요한 시간이 줄어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 AI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구조물의 최적 형태를 제안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설계단계에서 시공성 검토가 이뤄져 시공물량 절감이 가능한 혁신적인 시스템이다.
통상 한 동의 철골 건축물 구조설계를 위해서는 약 3~4일이 필요하지만 현대엔지니어링이 개발한 철골구조물 자동설계 프로그램은 설계자가 건물의 크기, 하중, 형태 등 기본적인 설계 조건만 입력하면 10분 이내로 구조설계가 가능하다.
또 인공지능 분석 시스템을 활용해 최적 구조물 형태를 예측할 수 있어 시공 물량을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설계-시공간 오차가 거의 없어 공기 단축은 물론 설계 비용도 약 20% 이상 절감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국내 최대 규모의 플랜트 설계조직인 '엔지니어링센터'를 설립해 운영중이며 이번 철골구조물 자동 설계 시스템 개발을 시작으로 '2D도면 3D 모델링 자동 변환', '배관·케이블 루트 자동 설계 (Auto Routing)', '전 공종 도면 자동화 설계 및 물량 산출' 등 10여 개의 설계 자동화 기술을 개발 중이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업계 최초로 AI 기반 플랜트 자동 설계 시스템을 개발했다는데 의미가 크다"며 "더욱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플랜트 시장에서 IT기술을 활용한 융합기술 시너지를 통해 기술경쟁력과 원가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