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정부가 적절한 조치 취할 것 기대"…靑도 입 모아 "부적절한 행태"
청와대가 22일 존 볼튼 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작성한 회고록과 관련해 "상황을 자신의 관점에서 본 것을 밝힌 것"이라며 "상당 부분 사실을 크게 왜곡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볼튼 전 보좌관의 주장 중 어떤 곳이 잘못됐는지는 설명하지 않았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 소통수석은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볼튼 전 보좌관의 재임 당시 카운터 파트였던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입장을 전했다. 정 실장은 "볼튼 전 보좌관은 그의 회고록에서, 한국과 미국, 그리고 북한 정상 간 협의 내용과 관련한 상황을 자신의 관점에서 본 것을 밝힌 것"이라며 "정확한 사실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볼튼 전 보좌관은 23일(현지시각) 출간할 회고록 '그 일이 일어났던 방'에서 2018년 6월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은 정 실장이 먼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제안했다고 적시하면서 "(미북 외교는) 한국의 창조물"이라고 했다. 그는 2018년 4월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만난 판문점 회담에서 문 대통령이 1년 안에 비핵화할 것을 요청했고 김 위원장이 동의했다는 주장도 해 논란이 됐다.
이에 정 실장은 "정부 간 상호 신뢰에 기초해 협의한 내용을 일방적으로 공개하는 것은 외교의 기본 원칙을 위반한 것으로, 향후 협상에서 신의를 매우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며 "미국 정부가 이런 위험한 사례를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기대한다"고 했다.
이어 "이런 부적절한 행위는 앞으로 한미 동맹 관계에 공동의 전략을 유지·발전시키고 양국의 안보 이익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다"고 했다. 윤 수석은 "이런 내용이 지난 21일 저녁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 전달됐다"고 했다.
윤 수석은 또한 볼튼 전 보좌관의 회고록 내용과 관련해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한미 정상 간의 진솔하고 건설적인 협의 내용을, 자신의 편견과 선입견을 바탕으로 왜곡한 것은 기본을 갖추지 못한 부적절한 행태"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청와대는 볼튼 전 보좌관의 왜곡과 편견이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인지에 대해서는 짚지 않았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볼튼 전 보좌관이 여러 이야기를 했지만 하나하나 사실관계를 다투는 것조차 부적절한 것으로 일단 판단이 된다"면서도 "현재 저희도 회고록 전체를 보지는 못했다. 어느 부분이 관련돼 있는지 내용은 파악하는 중"이라고 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작년 판문점 회담 당시 상황을 화면을 통해서나 보도를 통해 살펴보시면 볼튼 전 보좌관의 역할이 무엇이었는지 저희가 말씀드리지 않아도 쉽게 확인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볼튼이 한국과 미국·북한이 협상하는 사이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나아가 청와대 관계자는 볼튼 전 보좌관이 문 대통령을 '조현병 환자에 비유하는 등 폄훼하는 표현을 쓴 것과 관련해서도 "그건 자신이 판단해봐야 할 문제다. 본인이 그럴 수도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며 날을 세웠다.임재섭기자 yjs@dt.co.kr
청와대가 22일 존 볼튼 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작성한 회고록과 관련해 "상황을 자신의 관점에서 본 것을 밝힌 것"이라며 "상당 부분 사실을 크게 왜곡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볼튼 전 보좌관의 주장 중 어떤 곳이 잘못됐는지는 설명하지 않았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 소통수석은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볼튼 전 보좌관의 재임 당시 카운터 파트였던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의 입장을 전했다. 정 실장은 "볼튼 전 보좌관은 그의 회고록에서, 한국과 미국, 그리고 북한 정상 간 협의 내용과 관련한 상황을 자신의 관점에서 본 것을 밝힌 것"이라며 "정확한 사실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볼튼 전 보좌관은 23일(현지시각) 출간할 회고록 '그 일이 일어났던 방'에서 2018년 6월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은 정 실장이 먼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제안했다고 적시하면서 "(미북 외교는) 한국의 창조물"이라고 했다. 그는 2018년 4월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만난 판문점 회담에서 문 대통령이 1년 안에 비핵화할 것을 요청했고 김 위원장이 동의했다는 주장도 해 논란이 됐다.
이에 정 실장은 "정부 간 상호 신뢰에 기초해 협의한 내용을 일방적으로 공개하는 것은 외교의 기본 원칙을 위반한 것으로, 향후 협상에서 신의를 매우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며 "미국 정부가 이런 위험한 사례를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기대한다"고 했다.
이어 "이런 부적절한 행위는 앞으로 한미 동맹 관계에 공동의 전략을 유지·발전시키고 양국의 안보 이익을 강화하려는 노력을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다"고 했다. 윤 수석은 "이런 내용이 지난 21일 저녁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 전달됐다"고 했다.
윤 수석은 또한 볼튼 전 보좌관의 회고록 내용과 관련해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한미 정상 간의 진솔하고 건설적인 협의 내용을, 자신의 편견과 선입견을 바탕으로 왜곡한 것은 기본을 갖추지 못한 부적절한 행태"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청와대는 볼튼 전 보좌관의 왜곡과 편견이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인지에 대해서는 짚지 않았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볼튼 전 보좌관이 여러 이야기를 했지만 하나하나 사실관계를 다투는 것조차 부적절한 것으로 일단 판단이 된다"면서도 "현재 저희도 회고록 전체를 보지는 못했다. 어느 부분이 관련돼 있는지 내용은 파악하는 중"이라고 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작년 판문점 회담 당시 상황을 화면을 통해서나 보도를 통해 살펴보시면 볼튼 전 보좌관의 역할이 무엇이었는지 저희가 말씀드리지 않아도 쉽게 확인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볼튼이 한국과 미국·북한이 협상하는 사이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나아가 청와대 관계자는 볼튼 전 보좌관이 문 대통령을 '조현병 환자에 비유하는 등 폄훼하는 표현을 쓴 것과 관련해서도 "그건 자신이 판단해봐야 할 문제다. 본인이 그럴 수도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며 날을 세웠다.임재섭기자 yj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