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 N.E.O. 프로젝트 3대 핵심 방향 사업
[디지털타임스 이미정 기자]신한금융그룹이 '신(新) 디지털금융 선도'를 위한 디지로그(Digilog)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 사업은 금융권 최초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가 경제 신성장 동력 발굴을 지원하기 위한 '신한 N.E.O. 프로젝트'의 3대 핵심 방향 중 하나다.

신한금융은 22일 그룹의 주요 디지털 사업 아젠다를 논의하고 실행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로그 위원회'를 신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디지로그 위원회는 조용병 회장이 위원장으로 진두지휘하며 신한은행, 카드, 금투, 생명, 오렌지, DS, AI 등 7개 그룹사 CEO들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신한금융은 디지로그 위원회의 강력하고 빠른 의사결정을 통해 그룹의 데이터 사업 추진을 더욱 가속화하고,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투자를 확대하는 등 그룹 차원의 디지털 사업 실행 속도를 더욱 높일 계획이다.

디지털 핵심기술 후견인 제도에 참여하는 그룹사는 기존 6개에서 10개로 확대한다. 디지털 핵심기술 후견인 제도는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블록체인, 헬스케어 등 5개 핵심 기술 및 신 사업 분야의 선택과 집중을 위한 그룹 디지털 리더십의 핵심이다. 지난 3월부터 신한은행, 카드, 금투, 생명, 오렌지, DS 총 6개 그룹사가 후견 및 참여 그룹사로 함께 운영하고 있다.

캐피탈, 제주은행, 아이타스, AI 등이 추가로 참여해 그룹 차원의 DT 협업을 더욱 확대하고, 실무자 중심의 실질적인 협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세분화된 역량 모델에 기반한 '그룹 공동 디지털 교육 체계'도 구축해 인재 육성 체계를 고도화한다. 미래신기술 및 디지털 금융, AI, 블록체인 등 필요한 교육 분야별로 공동 교육 체계를 구축해 인력 양성과 인력 운영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순환 체계를 만든다는 것이다.

아울러 미래 신성장 기술을 확보하고 빅테크 혁신 기술에 대응하기 위해 신한금융그룹의 디지털 기술 창고이자 그룹의 통합 연구개발(R&D) 센터인 'SDII(Shinhan Digital Innovation Institute)'를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SDII'의 행정 및 운영 지원을 전담하는 'SDII 사무국'을 신설하고, 디지털 신기술 프로젝트 계획을 위한 전문인력 채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SDII R&D 협의회'를 만들어 그룹사의 다양한 디지털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기술지원 활동을 수행하는 등 'SDII'의 그룹 R&D 센터로서의 역할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향후 신한금융은 디지로그 위원회를 중심으로 지난 4월부터 5차례에 걸쳐 진행된 디지로그 토론회에서 도출된 총 35개의 세부 과제를 본격적으로 실행할 계획이다. 디지털 성과관리 체계 구축, 디지털 부문 그룹 제휴 소통 및 협업 강화 등 새로운 수익원 발굴을 위한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전 그룹사와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5차례에 걸쳐 진행된 '디지로그 토론회'에서 논의된 결과를 토대로 DT 추진을 위한 구동체계를 수립했다"며 "디지로그 사업 추진을 통해 하반기에는 고객에게 보다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시장에 파급력 있는 혁신적인 상품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선보이며 새로운 디지털 금융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정기자 lmj0919@dt.co.kr

<신한금융그룹 제공>
<신한금융그룹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