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야당을 진정한 국정 동반자로 생각하면 돕겠다"…각론에선 곳곳에서 이견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여야 원내대표와 '협치'를 논의하자며 만난 자리에서 3차 추경안·고용 관련 법안·공수처 7월 출범 등 산적한 현안에 대한 조속한 처리를 당부했다. 야당인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는 "야당을 진정한 국정 동반자로 생각하면 저희도 돕겠다"고 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문 대통령이 여야 원내대표와 청와대 상춘재에서 만난 자리에서 "세계적으로 대공황 이후 처음이라는 지금 같은 위기 국면에서는 국회에서 3차 추경안과 고용 관련 법안이 신속히 통과될 수 있어야 하겠다"며 "공수처(고위 공직자 비리 수사처)의 7월 출범에도 차질이 없도록 했으면 좋겠다는 말을 했다"고 전했다. 강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야권 일각에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부정하는 움직임과 관련해 '여야 간 타협점을 찾지 못했던 문제들은 이제 한 페이지를 넘겼으면 좋겠다'는 말도 했다"고 전했다.
이날 문 대통령과 여야 원내대표는 지난 2018년 11월 여·야·정 상설협의체에서 1차례 만난 이후 처음, 566일 만에 다시 만났다. 오는 30일부터 임기가 시작하는 21대 국회의 개원을 앞두고 국정 현안을 격의 없이 논의하겠다는 의도였다.
문 대통령은 여야 원내대표에게 협치를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그간 국회가 법에 정해진 날짜에 정상적인 방식으로 개원을 못 해왔다"며 "시작이 반이라고, 두 분이 역량을 잘 발휘해달라"고 했다. 이 과정에서 주 원내대표가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과 고 노무현 전 대통령 7주기 추도식에 참석한 행보를 높게 평가하면서 여야가 격식 없이 자주 만날 것도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여권에서 원하는 산적한 현안의 처리를 잔뜩 주문한 것이다.
실제 문 대통령은 이날 양당 원내대표와 오찬한 후 산책을 했는데, 당시 김 원내대표가 "대통령이 우리를 위해 일정을 많이 비웠다"고 하자, 걸음을 멈추고 뒤돌아 김 원내대표를 바라보면서 "국회가 제때 열리고 법안이 제때 처리되면 제가 업어드릴게요"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주 원내대표는 "저희들도 상생 협치를 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도 "야당을 진정한 국정 동반자로 생각하면 저희도 돕겠다"고 답했다. 이날 주 원내대표가 문 대통령에게 건의한 내용 중에 문 대통령이 받아들여 검토해보겠다고 한 것은 야당과 소통하는 특임장관인 '정무장관' 신설 정도였다.각론에서는 곳곳에서 이견이 드러났다.
주 원내대표는 외교·안보와 관련해서는 "미국·중국의 대립과 관련해 우리의 외교적인 위치설정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했고, 경제문제와 관련해서는 "저는 한해 들어 세 번이나 추경하는 상황을 국민이 납득 할 수 있는지, 필요하다면 어느 항목에 필요하고 효과는 어떤 것이며 재원대책은 어떤 것인지 국민들이 소상히 알 필요가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당연히 야당이 요구할 만하다"며 "국회에 (추경안을) 제출할 때 자세히 설명하겠다"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탈원전·공수처 등에서 양당 간 입장 차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임재섭기자 yjs@dt.co.kr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여야 원내대표와 '협치'를 논의하자며 만난 자리에서 3차 추경안·고용 관련 법안·공수처 7월 출범 등 산적한 현안에 대한 조속한 처리를 당부했다. 야당인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는 "야당을 진정한 국정 동반자로 생각하면 저희도 돕겠다"고 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문 대통령이 여야 원내대표와 청와대 상춘재에서 만난 자리에서 "세계적으로 대공황 이후 처음이라는 지금 같은 위기 국면에서는 국회에서 3차 추경안과 고용 관련 법안이 신속히 통과될 수 있어야 하겠다"며 "공수처(고위 공직자 비리 수사처)의 7월 출범에도 차질이 없도록 했으면 좋겠다는 말을 했다"고 전했다. 강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야권 일각에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부정하는 움직임과 관련해 '여야 간 타협점을 찾지 못했던 문제들은 이제 한 페이지를 넘겼으면 좋겠다'는 말도 했다"고 전했다.
이날 문 대통령과 여야 원내대표는 지난 2018년 11월 여·야·정 상설협의체에서 1차례 만난 이후 처음, 566일 만에 다시 만났다. 오는 30일부터 임기가 시작하는 21대 국회의 개원을 앞두고 국정 현안을 격의 없이 논의하겠다는 의도였다.
문 대통령은 여야 원내대표에게 협치를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그간 국회가 법에 정해진 날짜에 정상적인 방식으로 개원을 못 해왔다"며 "시작이 반이라고, 두 분이 역량을 잘 발휘해달라"고 했다. 이 과정에서 주 원내대표가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과 고 노무현 전 대통령 7주기 추도식에 참석한 행보를 높게 평가하면서 여야가 격식 없이 자주 만날 것도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여권에서 원하는 산적한 현안의 처리를 잔뜩 주문한 것이다.
실제 문 대통령은 이날 양당 원내대표와 오찬한 후 산책을 했는데, 당시 김 원내대표가 "대통령이 우리를 위해 일정을 많이 비웠다"고 하자, 걸음을 멈추고 뒤돌아 김 원내대표를 바라보면서 "국회가 제때 열리고 법안이 제때 처리되면 제가 업어드릴게요"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주 원내대표는 "저희들도 상생 협치를 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도 "야당을 진정한 국정 동반자로 생각하면 저희도 돕겠다"고 답했다. 이날 주 원내대표가 문 대통령에게 건의한 내용 중에 문 대통령이 받아들여 검토해보겠다고 한 것은 야당과 소통하는 특임장관인 '정무장관' 신설 정도였다.각론에서는 곳곳에서 이견이 드러났다.
주 원내대표는 외교·안보와 관련해서는 "미국·중국의 대립과 관련해 우리의 외교적인 위치설정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했고, 경제문제와 관련해서는 "저는 한해 들어 세 번이나 추경하는 상황을 국민이 납득 할 수 있는지, 필요하다면 어느 항목에 필요하고 효과는 어떤 것이며 재원대책은 어떤 것인지 국민들이 소상히 알 필요가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당연히 야당이 요구할 만하다"며 "국회에 (추경안을) 제출할 때 자세히 설명하겠다"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탈원전·공수처 등에서 양당 간 입장 차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임재섭기자 yj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