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인당 기준 국가채무가 1500만원에 육박했다.
10일 국회예산정책처의 국가채무시계를 보면 지난 9일 오후 9시 9분 기준 우리나라 국민 1인당 국가채무(D1)는 1483만6349원을 가리켰다. 같은 시각 총 국가채무는 약 769조1850억원이었다.
정부는 재정투입을 통한 코로나 위기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세수는 기업 실적 악화에 따른 법인세 감소로 줄어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현재 국가채무시계는 1차 추가경정예산 상 국가채무 전망 815조5000억 원 등을 토대로 1초에 약 228만원씩 늘어나도록 설계됐다. 1인당 액수는 올해 2월 말 주민등록인구 5184만명으로 나눈 값이다.
국가채무가 늘어나는 속도는 최근 들어 점점 빨라지고 있다.
2000년(111조원) 100조원, 2004년(204조원) 200조원, 2008년(309조원) 300조원, 2011년(421조원) 400조원, 2014년(533조원) 500조원, 2016년(627조원) 600조원, 2019년(729조원) 700조원을 차례로 넘어섰다. 올해는 800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2000년 237만원 수준이던 1인당 국가채무 역시 2014년(1051만원)으로 1000만 원을 넘어섰다. 올해는 1500만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김양혁기자 mj@
10일 국회예산정책처의 국가채무시계를 보면 지난 9일 오후 9시 9분 기준 우리나라 국민 1인당 국가채무(D1)는 1483만6349원을 가리켰다. 같은 시각 총 국가채무는 약 769조1850억원이었다.
정부는 재정투입을 통한 코로나 위기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세수는 기업 실적 악화에 따른 법인세 감소로 줄어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현재 국가채무시계는 1차 추가경정예산 상 국가채무 전망 815조5000억 원 등을 토대로 1초에 약 228만원씩 늘어나도록 설계됐다. 1인당 액수는 올해 2월 말 주민등록인구 5184만명으로 나눈 값이다.
국가채무가 늘어나는 속도는 최근 들어 점점 빨라지고 있다.
2000년(111조원) 100조원, 2004년(204조원) 200조원, 2008년(309조원) 300조원, 2011년(421조원) 400조원, 2014년(533조원) 500조원, 2016년(627조원) 600조원, 2019년(729조원) 700조원을 차례로 넘어섰다. 올해는 800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2000년 237만원 수준이던 1인당 국가채무 역시 2014년(1051만원)으로 1000만 원을 넘어섰다. 올해는 1500만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김양혁기자 mj@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