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박정일 기자] 한국의 반도체, 정밀화학원료, 평판압연제품 등이 세계 수출시장에서 5년 연속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다만 중국 등에 밀려 1위 품목 수가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는 만큼, 선택과 집중 등 수출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4일 내놓은 '수출시장 1위 품목으로 본 한국 수출의 경쟁력 현황' 보고서에서 반도체, 정밀화학원료, 평판압연제품 등 주력 수출품을 포함해 32개 품목이 2014년부터 5년 연속 1위를 지켰다고 밝혔다.
1위 품목 중 파라자일렌(파라크실렌·8.6%포인트), 메모리반도체(7.5%포인트), 벤젠(3.9%포인트) 등은 점유율이 5년 전보다 크게 늘었다.
2018년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1위 품목은 63개로 세계 13위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화학제품(27개)과 철강·비철금속(12개)이 과반이었다. 다만 1위 품목 63개 중 35개는 중국(13개), 미국(8개), 독일(7개), 일본(7개) 등 주요국이 2위에서 바짝 뒤쫓고 있으며, 이 중 10개는 점유율 격차가 5%포인트 미만에 불과해 추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1위 품목의 수출액이 한국 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3.7%로 전년보다 0.3%포인트 하락했다. 2017년 1위였다가 2018년 1위에서 내려온 품목은 19개로 이 중 12개 품목에서 중국, 일본, 미국, 독일 등 주요국에게 1위 자리를 내줬다.
주요국 중에서는 중국이 눈에 띄었다. 중국의 수출시장 1위 품목은 전년보다 38개 늘어난 1735개로 1위에 올랐다. 2~5위의 독일(685개, -7개), 미국(511개, -21개), 이탈리아(215개, -1개), 일본(162개, -7개)은 모두 전년보다 1위 품목이 감소했다.
강성은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연구원은 "그간 선진국이 강세를 보이던 화학제품, 공작기계, 수송기계 등의 분야에서도 중국이 경쟁력을 보이기 시작했다"며 "세계 수출시장에서 주요국 간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어 우리도 제품 경쟁력 제고와 수출 차별화 전략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박정일기자 comja77@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