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산업기술인력 실태조사' 2028년까지 6만3000명 더 필요 바이오헬스 양성과정 내년 신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디지털헬스케어, 스마트·친환경선박, 항공드론, 지능형 로봇 등 4대 유망 신산업 분야에 석·박사급 인력 공급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이 같은 내용의 2018년 말 기준 4대 유망 신산업 산업기술인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4대 신산업 분야에 참여하고 있는 산업기술인력은 10만5000명으로, 인력 부족률을 따져봤을 때 2028년까지 이보다 6만3000명이 더 필요한 것으로 집계됐다. 산업기술인력은 기업에서 연구개발, 기술직, 생산·정보통신 관련 관리자, 임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고졸 이상 인력을 말한다.
관련 산업체는 총 3500여개로 부족인력은 4755명, 평균부족률은 4.3%로 나타났다. 전체 산업체 중 100인 미만 중소기업이 81.7%로 비중이 가장 높았고 필요인력은 주로 신규채용과 기존 재직자 직무전환을 통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 신산업 분야에선 대졸 및 석·박사급 인력 부족률이 기존 12대 주력산업보다 높게 나타났다. 12대 주력산업 분야의 석·박사급 인력 부족률은 2.4%인데, 4대 신산업 분야에선 9.1%로 4배 가까이 높았다.
산업부는 이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석·박사급 인력 양성을 올해 확대 추진할 예정이다. 스마트친환경선박, 항공드론, 지능형 로봇 분야 인력 양성에 올해 80억원을 투입한다. 또 2021년에는 바이오헬스 분야 전문 인력 양성 과정을 신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가 추진하는 특성화고 학과개편, 신산업 분야 대학원 정원 조정 등에 산업계 수요도 전달할 예정이다.
또 재직자들이 신산업 분야로 직무를 전환하는 유기적 연계도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직업훈련체계를 개편해 훈련단가 기준을 완화하는 등 범부처간 협의도 지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