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대의 펀드 부실의 비밀, '라임 판도라'는 열릴 것인가?
'라임자산운용 사태'에 개입한 의혹을 받는 전 청와대 행정관이 검찰에 구속되면서 소위 '윗선' 수사가 주목받고 있다.
금융감독원 파견 행정관의 로비가 미친 지점이 바로 그 '윗선'이다.
1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형사6부(조상원 부장검사)는 김모(46) 전 청와대 경제수석실 행정관의 로비 부분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검찰은 앞서 18일 김 전 행정관을 구속했다.
김 전 행정관은 지난해 2월부터 1년간 청와대 경제수석실 행정관으로 파견 근무했다. 그는 돈을 받고 '라임 사태' 무마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 등에 따르면 라임 상품을 1조원 이상 판매한 한 대신증권 관계자가 피해 투자자와 나눈 대화 녹취록을 보면 '김 전 행정관이 라임 사태 확산을 막아주고 있다'는 취지의 발언이 나온다. 발언이 알려지면서 피해액이 1조원을 넘는 사태를 무마하려고 청와대 관계자가 개입했다는 진술이 알려져 의혹은 일파만파로 커졌다.
현재 라임 사태와 관련 라임의 '돈줄'로 지목된 김봉현 스타모빌리티 회장, 이종필 전 라임 부사장 등은 잠적한 상태다.
라임 사태는 라임 자산운용이 운영하고 은행 등 금융사들이 판매한 펀드가 부실이 생기면서 발생했다. 운용사측이 판매사측과의 계약을 무시하고 펀드 내부 투자금을 이리저리 옮기면서 한 펀드의 부실이 다른 펀드로 전이됐고 그 피해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라임 펀드는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를 거쳐 현재 회사측이 밝힌 상환계획에 따르면 손실률이 50%를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라임 측의 투자금 운용에서 배임과 횡령 등의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도주 중인 김봉현 스타모빌리티 회장은 라임 자산운용의 돈으로 상조회사 등을 인수하는 데 썼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라임 투자 피해자들은 금융당국의 감독 부실로 이번 사태가 커졌다고 지적하고 있다. 수조 원 규모의 펀드에서 운용 부실이 발생했고, 관련 상품이 계속 판매되는데도 당국이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아 피해가 커졌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구속된 김 전 행정관과 김봉현 회장은 고향 친구로 알려졌다. 그간 라임 사태와 관련한 의혹 전반을 수사한 검찰은 김 전 행정관이 김 회장에게 라임 검사 관련 정보를 누설하고 그 대가로 4900만원 상당의 뇌물을 받았다고 판단했다.
라임에 대한 부실감독 의혹과 김 전 행정관 사이에 연결고리가 있다고 본 셈이다.
검찰은 스타모빌리티 관계자들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하는 과정에서 김 전 행정관이 작년 5월부터 김 회장으로부터 월 한도 수백만원짜리 법인카드를 받아 쓴 사실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김 전 행정관의 동생 A씨가 스타모빌리티 사외이사로 등재돼 급여로 약 2000만 원을 받아 갔다는 회사 관계자들의 진술도 확보했다. 스타모빌리티 관계자에 따르면 A씨는 현재까지 사퇴하지 않고 사외이사로 등재돼 있으며, 최근에는 경영 참여 의사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검찰은 A씨에게 지급된 급여도 김 전 행정관이 받은 뇌물에 포함된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검찰은 이달 초 경기도 안산 스타모빌리티 본사를 압수수색해 김 전 행정관의 뇌물수수와 관련한 증거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행정관의 행적이 알려지면서 그동안 피해자들을 중심으로 '위선' 개입설도 나와 있는 상황이다. 일개 청와대 행정관 단독으로 막기에 사건이 너무 크다는 시각이다. 물론 아직 '윗선'의 윤곽도 나오지 않은 상태다. 검찰의 김 행정관에 대한 수사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김동준기자 blaams89@dt.co.kr
'라임자산운용 사태'에 개입한 의혹을 받는 전 청와대 행정관이 검찰에 구속되면서 소위 '윗선' 수사가 주목받고 있다.
금융감독원 파견 행정관의 로비가 미친 지점이 바로 그 '윗선'이다.
1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형사6부(조상원 부장검사)는 김모(46) 전 청와대 경제수석실 행정관의 로비 부분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검찰은 앞서 18일 김 전 행정관을 구속했다.
김 전 행정관은 지난해 2월부터 1년간 청와대 경제수석실 행정관으로 파견 근무했다. 그는 돈을 받고 '라임 사태' 무마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 등에 따르면 라임 상품을 1조원 이상 판매한 한 대신증권 관계자가 피해 투자자와 나눈 대화 녹취록을 보면 '김 전 행정관이 라임 사태 확산을 막아주고 있다'는 취지의 발언이 나온다. 발언이 알려지면서 피해액이 1조원을 넘는 사태를 무마하려고 청와대 관계자가 개입했다는 진술이 알려져 의혹은 일파만파로 커졌다.
현재 라임 사태와 관련 라임의 '돈줄'로 지목된 김봉현 스타모빌리티 회장, 이종필 전 라임 부사장 등은 잠적한 상태다.
라임 사태는 라임 자산운용이 운영하고 은행 등 금융사들이 판매한 펀드가 부실이 생기면서 발생했다. 운용사측이 판매사측과의 계약을 무시하고 펀드 내부 투자금을 이리저리 옮기면서 한 펀드의 부실이 다른 펀드로 전이됐고 그 피해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라임 펀드는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를 거쳐 현재 회사측이 밝힌 상환계획에 따르면 손실률이 50%를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라임 측의 투자금 운용에서 배임과 횡령 등의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도주 중인 김봉현 스타모빌리티 회장은 라임 자산운용의 돈으로 상조회사 등을 인수하는 데 썼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라임 투자 피해자들은 금융당국의 감독 부실로 이번 사태가 커졌다고 지적하고 있다. 수조 원 규모의 펀드에서 운용 부실이 발생했고, 관련 상품이 계속 판매되는데도 당국이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아 피해가 커졌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구속된 김 전 행정관과 김봉현 회장은 고향 친구로 알려졌다. 그간 라임 사태와 관련한 의혹 전반을 수사한 검찰은 김 전 행정관이 김 회장에게 라임 검사 관련 정보를 누설하고 그 대가로 4900만원 상당의 뇌물을 받았다고 판단했다.
라임에 대한 부실감독 의혹과 김 전 행정관 사이에 연결고리가 있다고 본 셈이다.
검찰은 스타모빌리티 관계자들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하는 과정에서 김 전 행정관이 작년 5월부터 김 회장으로부터 월 한도 수백만원짜리 법인카드를 받아 쓴 사실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김 전 행정관의 동생 A씨가 스타모빌리티 사외이사로 등재돼 급여로 약 2000만 원을 받아 갔다는 회사 관계자들의 진술도 확보했다. 스타모빌리티 관계자에 따르면 A씨는 현재까지 사퇴하지 않고 사외이사로 등재돼 있으며, 최근에는 경영 참여 의사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검찰은 A씨에게 지급된 급여도 김 전 행정관이 받은 뇌물에 포함된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검찰은 이달 초 경기도 안산 스타모빌리티 본사를 압수수색해 김 전 행정관의 뇌물수수와 관련한 증거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행정관의 행적이 알려지면서 그동안 피해자들을 중심으로 '위선' 개입설도 나와 있는 상황이다. 일개 청와대 행정관 단독으로 막기에 사건이 너무 크다는 시각이다. 물론 아직 '윗선'의 윤곽도 나오지 않은 상태다. 검찰의 김 행정관에 대한 수사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김동준기자 blaams89@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