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확진자 7일째 30명 안팎
총선 이후 지역사회 재확산 경계
15일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가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생활방역' 단계로 진입하는 최종관문이 될 전망이다. 생활방역은 일정 정도의 일상활동을 허용하면서 감염예방·전파차단 활동을 병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15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14일 하루 동안 코로나19 추가 확진자는 27명으로 7일 연속 30명 안팎 수준을 유지했다. 감염경로 미확인 환자 비율은 최근 9일간 평균 2.8%로 나타났다. 이같은 수치는 정부가 생활방역의 기본 조건으로 제시한 '일일 확진자 50명 미만 유지', '감염경로 미확인 환자 비율 5% 미만'을 모두 충족한 것이다.관건은 많은 사람들이 투표소로 이동한 4.15 총선 직후에도 이같은 추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 여부다. 당국은 생활방역으로 들어가려면 최근 2∼4주 동안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환자 비율이 5% 미만이 돼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이와 관련,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지난 13일 정례 브리핑에서 "과거 사례까지 더해 5%를 적용할 수는 없다"면서 "최근 2주 내지 4주 감염 비율을 지표로 판단하고자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기간에 눈에 띄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6일과 7일 각각 47명, 8일 53명을 기록했다. 이후 9일 39명을 시작으로 7일째 30명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는 지난달 22일부터 시작됐으며, 실시 전후로 미확인 환자 비율도 크게 감소한 상태다. 실시 전 10일간 평균 10%에 달했던 감염경로 미확인 환자 비율은 최근 9일간 평균 2.8%로 감소해 방역망 통제 수준이 강화된 상태다.
방역 당국은 이번 주 후반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의 종료 또는 추가연장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따라서 4.15총선 직후인 16일 환자 현황이 생활방역으로의 전환을 결정지을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최근 총선 사전투표와 부활절 예배라는 고비를 무사히 통과하고 이번 총선 고비까지 넘길 경우, 안정적으로 통제 가능한 수준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선거가 코로나19를 다시 확산시키는 악재가 될 경우에는 얘기가 달라진다. 선거 후 유권자들이 지인들과 모임을 갖거나 나들이를 하게 되면 사회적 거리두기로 지탱해 온 방역망이 한꺼번에 무너질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우려되는 점은 감염 사실을 모른 채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이 선거를 통해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상황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이런 상황이 전개되면 일상으로의 복귀 시점은 기약없이 미뤄질 수밖에 없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선거일이 코로나19를 보다 확실히 줄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고비"라며 "국민 모두 서로에 대한 신뢰와 사회적 연대의식을 바탕으로 노력하는 것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15일 국내 코로나19 확진자는 총 1만591명으로 집계됐다. 해외 유입과 지역사회 감염이 이어졌다. 신규 확진자 27명 중 11명이 수도권에서 나왔다. 해외유입 사례는 11명으로, 공항검역에서 확인된 확진자가 4명, 국내에서 입국자 관련 확진은 7건이다. 해외에서 입국한 후 자가격리 상태에서 코로나19로 확진되는 사례가 잇따라 발생했다. 이달 1일부터 이날 0시까지 2주간 보고된 코로나19 확진자 704명 중 377명(53.6%)은 해외 유입 사례로 파악됐다.
김수연기자 newsnews@
총선 이후 지역사회 재확산 경계
15일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가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생활방역' 단계로 진입하는 최종관문이 될 전망이다. 생활방역은 일정 정도의 일상활동을 허용하면서 감염예방·전파차단 활동을 병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15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14일 하루 동안 코로나19 추가 확진자는 27명으로 7일 연속 30명 안팎 수준을 유지했다. 감염경로 미확인 환자 비율은 최근 9일간 평균 2.8%로 나타났다. 이같은 수치는 정부가 생활방역의 기본 조건으로 제시한 '일일 확진자 50명 미만 유지', '감염경로 미확인 환자 비율 5% 미만'을 모두 충족한 것이다.관건은 많은 사람들이 투표소로 이동한 4.15 총선 직후에도 이같은 추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 여부다. 당국은 생활방역으로 들어가려면 최근 2∼4주 동안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환자 비율이 5% 미만이 돼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이와 관련,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지난 13일 정례 브리핑에서 "과거 사례까지 더해 5%를 적용할 수는 없다"면서 "최근 2주 내지 4주 감염 비율을 지표로 판단하고자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수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 기간에 눈에 띄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6일과 7일 각각 47명, 8일 53명을 기록했다. 이후 9일 39명을 시작으로 7일째 30명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는 지난달 22일부터 시작됐으며, 실시 전후로 미확인 환자 비율도 크게 감소한 상태다. 실시 전 10일간 평균 10%에 달했던 감염경로 미확인 환자 비율은 최근 9일간 평균 2.8%로 감소해 방역망 통제 수준이 강화된 상태다.
방역 당국은 이번 주 후반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의 종료 또는 추가연장 여부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따라서 4.15총선 직후인 16일 환자 현황이 생활방역으로의 전환을 결정지을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최근 총선 사전투표와 부활절 예배라는 고비를 무사히 통과하고 이번 총선 고비까지 넘길 경우, 안정적으로 통제 가능한 수준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선거가 코로나19를 다시 확산시키는 악재가 될 경우에는 얘기가 달라진다. 선거 후 유권자들이 지인들과 모임을 갖거나 나들이를 하게 되면 사회적 거리두기로 지탱해 온 방역망이 한꺼번에 무너질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우려되는 점은 감염 사실을 모른 채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이 선거를 통해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상황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이런 상황이 전개되면 일상으로의 복귀 시점은 기약없이 미뤄질 수밖에 없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선거일이 코로나19를 보다 확실히 줄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고비"라며 "국민 모두 서로에 대한 신뢰와 사회적 연대의식을 바탕으로 노력하는 것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15일 국내 코로나19 확진자는 총 1만591명으로 집계됐다. 해외 유입과 지역사회 감염이 이어졌다. 신규 확진자 27명 중 11명이 수도권에서 나왔다. 해외유입 사례는 11명으로, 공항검역에서 확인된 확진자가 4명, 국내에서 입국자 관련 확진은 7건이다. 해외에서 입국한 후 자가격리 상태에서 코로나19로 확진되는 사례가 잇따라 발생했다. 이달 1일부터 이날 0시까지 2주간 보고된 코로나19 확진자 704명 중 377명(53.6%)은 해외 유입 사례로 파악됐다.
김수연기자 newsnews@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