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권고에도 휴원은 32.6%뿐
학원들 운영난 두려워 개원 강행
방과후 자녀 맡길 곳 필요성 제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의 집답 감염 사례가 늘고 있지만, 그 위험을 안고 있는 학원들이 수업을 지속해 주목된다.

정부는 학원에 휴원을 강력히 권고했지만, 셋 중 하나 꼴만 휴원 했을 뿐이다.

자녀들의 학업 능력 저하를 우려한 학부도의 걱정도 걱정이지만 운영난이 두려워 개원하는 학원들이 적지 않다.

5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전날 오후 2시 현재 휴원한 서울 시내 학원과 교습소는 8236곳에 그쳤다. 이는 전체(2만5240곳)의 32.6%다.

특히 서울 강서·양천구와 강남·서초구의 휴원율이 낮았다. 교육청 산하 11개 교육지원청별로 보면, 강서양천교육지원청내 학원 휴원율이 20.6%(3332곳 중 685곳 휴원)로 가장 저조했다. 이어 강남서초교육지원청이 24.4%(5270곳 중 1285곳 휴원)의 순이었다.

경기 등 타 시·도 역시 상황이 비슷하다. 경기는 지난 2일 기준 학원과 교습소 3만2923개 가운데 23.3%인 7679곳이 휴원했다. 4일 기준의 광주 역시 4741곳 가운데 650곳이 휴원했을 뿐이다. 휴원율이 14%에 못미치는 상태다.

문제는 지금까지 우리나라 코로나 19 확진자 증가는 모두 집단감염에 탓이라는 점이다.

실제 4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충남 천안·아산 코로나19 확진자는 이날 오전 기준 82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는 줌바 강사와 수강생 51명이 포함됐고 가족과 지인 28명도 2차 감염됐다. 전체 82명 중 96%인 79명이 줌바 교습소와 연관이 있는 셈이다.

경북에서는 이스라엘 성지순례에 참여한 천주교 안동교구 신자 38명(서울 가이드 1명 제외) 가운데 29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순례단 확진자와 접촉한 19명도 검사 결과 양성으로 나왔다.

부산 온천교회와 연관된 확진자도 31명으로 늘었지만, 바이러스 전파 경로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전문가들은 지금까지는 교회였지만, 앞으로는 학원이 집단감염의 통로일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학원계는 생계가 걸린 터라 휴원이 쉽지 않다며 정부 지원을 촉구했다.

한국학원총연합회는 최근 "지난해 국세청 소득신고액을 기준으로 학원이 휴원으로 입은 손실을 계산해 절반을 정부가 지원해준다고 약속해 달라"고 요청했다.

여기에 맞벌이 부부의 경우 학원 외에는 방과 후 자녀를 맡길 곳을 찾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해야 학원들이 보다 쉽게 휴원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김동준기자 blaams89@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