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소비가 극도로 얼어붙고 있다. 카드 사용액을 보면 선명하게 드러난다. 외부 소비활동이 크게 위축되면서 한달새 카드 사용액이 반토막났다. 2월 1일부터 23일까지 개인 신용카드 승인액은 한달 전인 1월보다 45% 급감했다. 신한·삼성 등 전업 카드사 8곳의 카드 승인액을 합산해 비교한 수치다. 코로나19 확진자가 급격히 늘어난 2월말 수치까지 합산하면 2월 전체 카드 승인액 감소는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조사한 2월 소비심리지수(CCSI) 역시 심각한 소비절벽을 보여준다. 2월 CCSI는 전월대비 7.3포인트 하락했다. 이러한 낙폭은 메르스 사태가 있었던 2015년 6월과 같은 수준이다.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이 일부 반영된 통계나 지표가 이 정도라면 이달이나 다음달 추락 폭은 가늠하기 조차 어렵다.

위기 대응을 위해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2일 6조2000억원이 넘는 규모의 추경을 편성해 5일 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추경안에는 코로나19 확진자의 신속한 치료와 확산 방지를 위한 비용,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위한 초저금리 대출, 온누리상품권 발행 예산 등이 담겨있다. 특히 가장 피해가 심각한 대구·경북 지역에 대해선 지원예산을 별도로 배정하는 등 특별지원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이미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여행·숙박·음식점업 등의 체감경기는 소비가 급감하면서 최악이다. 추경은 이번 위기를 극복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추경이 절실하다는 것은 두말 할 필요가 없다. 긴급 용처가 생겨 투입하는 추경을 통해 소비의 불씨를 되살려 경제가 무너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 곧 추경안이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니 이제 중요한 것은 '속도'다. 이번 사태가 과거 신종플루나 메르스 사태 등과 비교도 할 수 없는 국가재난인 만큼 추경은 빠르면 빠를수록 그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예산 집행 시점을 놓치는 실기(失期)를 범하면 효과는 반감되고 국민의 비명소리는 더 커진다. 미증유의 재난이 정쟁도구가 되어선 안된다. 국회는 최대한 신속하게 추경안을 처리해 정책의 약효를 높여야 한다. 코로나19의 파고를 넘는데 정치권도 힘을 보태야할 때다. 실기했다간 오는 4월 총선이 그 책임을 묻는 자리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