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술연구원 국내에서 처음
BIM·GIS 기반의 IT 적용한
'지진안전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첨단 IT를 활용해 건물의 내진성능 예측으로 지진안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됐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건물정보시스템(BIM)·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의 IT를 적용한 '건축물 지진안전 통합관리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첨단 IT를 기반으로 지역·국가 단위로 건축물 내진성능 평가를 자동화해 통합·관리하기 위해 GIS와 BIM를 결합한 IT 기반의 신개념 플랫폼이다.

시스템은 BIM을 통해 건축물 구조안전과 관련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확보·처리하고, 이를 토대로 내진성능 평가를 자동 수행한다. 또한 GIS와 결합해 개별 건축물의 내진성능 평가 결과를 지역·국가 단위로 시각화해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시스템 중 '정보추출 자동화 모듈'은 방대한 양의 건축물 정보 가운데 내진성능 평가에 필요한 정보만을 효율적으로 추출해 주고, '내진성능 평가 자동화 모듈'은 높이, 층수, 철근 배근량 등 간단한 구조정보를 바탕으로 내진성능 평가를 지원한다.

아울러 신속 내진성능 평가 엔진 기술은 건축물의 간단한 고유특성 정보를 토대로 사전에 구축된 방대한 양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예측해 준다.

이 같은 첨단 IT 기술 접목을 통해 내진성능 정보 관련 데이터베이스는 BIM·GIS 플랫폼과 연동돼 개별·지역 단위 건축물의 내진성능 평가 결과를 한 눈에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시각화 형태로 제공한다고 건설연 측은 설명했다.

유영찬 건설기술연 선임연구위원은 "통합관리 플랫폼은 지자체와 국가에서 지진발생 이전에 다양한 대응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도구로, 지진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시스템으로 널리 쓰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준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