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확산되면서 정부 대응 논란일자…유일하게 별도 음압시설 갖춘 보건소 찾아 대응체계 집중 질문
마스크 쓰는 문재인 대통령(사진=연합뉴스)
마스크 쓰는 문재인 대통령(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폐렴)에 대응하는 일선 보건소를 방문해 지난 2015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때와 현재의 대응을 비교하는 질문을 세차례나 했다. 우한폐렴의 확산세가 계속되고 정부의 대응을 두고 논란이 계속되자 지난 정부에 비해 대응이 잘 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성동구 보건소를 방문해 현장 대응체계 설명을 청취하고 직원들을 격려했다. 성동구 보건소는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유일하게 별도의 건물을 지어 음압시설을 갖춘 선별진료소를 운영하는 곳이다. 국내 박원순 서울시장과 정원오 성동구청장, 김경희 보건소장 등이 문 대통령을 맞았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메르스 때의 경험을 토대로 그렇게 구축된 것이냐"고 물었고, 김 보건소장은 "그렇게 알고 있다"며 "보건소에 결핵환자도 있고, 다른 주민들과 동선이 얽히게 된다던지, 음압시설이 안돼 균이 퍼질 수 있기 때문에 선도적으로 음압시설이 갖춰진 시설을 구축하게 됐다"고 답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박 시장을 향해 "우리 시장님은 메르스 사태도 경험했는데, 지금 지자체와 중앙 정부간의 협력 체계, 또는 민관 간 협력체계가 잘 되고 있느냐"고 물었다. 박 시장은 "아무래도 경험을 가지고 있고 학습효과가 있기 때문에 훨씬 더 잘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중앙정부가 저희들이 제안하면 대체로 다 받아들이는 관계이기 때문에 과거하고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라고 했다. 정 구청장도 "메르스 때는 질병관리본부와 소통이 안돼서 그게 가장 큰 문제였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정 구청장에게도 "지난번 메르스 사태를 직접 경험했다"면서 "신종감염병이라는게 언제 또 어떤 형태로 닥칠지 알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감염병 대응체계를 훨씬 더 강화해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이어 일선 지자체와 보건소에 현재상황의 수습과 지역사회 감염 방지, 주민 불안 해소를 당부했다.

한편 이날 문 대통령은 성동구에 한양대가 있다는 점을 짚으면서 중국인 유학생의 종합적인 관리를 주문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교육부와 지자체와 대학이 긴밀히 협의해 중국에서 오신 분들은 국적이 무엇이든 간에 자체적으로 기숙사에서 격리할 수 있는 여유시설이 있으면 다행스러운데, 그런 시설이 없으면 격리시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고 했다.

박 시장은 "기존 기숙사에서 한국 학생들을 빼고 전부 한다던지, 중국 뿐 아니라 태국이나 말레이시아쪽 유학생들까지 다같이 하는 것으로 협의하고 있다"며 "각 대학 총장 회의를 한 번 소집해 구체적으로 가이드라인을 함께 만들어갈 생각"이라고 했다.임재섭기자 yj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임재섭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